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세계수학자대회를
열
수 있었다. 이는 세계수학자대회가 유럽이 아닌 대륙에서 처음으로
열
린 사건이었다. 게다가 필즈는 바로 이 대회에서 앞으로 매 대회마다 우수한 업적을 쌓은 두 명의 수학자에게 메달을 수여하자는 제안을 한다. 평소 필즈는 노벨상에서 수학이 제외된 것을 안타깝게 ... ...
맨틀에 제2의 바다가 있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있을 것으로 보고 실험을 했다. 물을 포함한 링우다이트에 서서히 압력과
열
을 가했는데, 예상대로 링우다이트가 다른 광물로 변하면서 물을 방출했다. 이번에는 미국 대륙 아래의 지진파 관측 자료를 통해 맨틀이 실제로 녹는지도 확인했는데, 예측한 대로 전이지대 아래에서 맨틀이 녹는다는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개라면 100배인 25ml를 투여해야합니다. 약물 생산비도 100배가 들겠지요. 2002년 게놈 서
열
이 완전히 분석된 덕분에 마우스는 유전자조작실험에서 중요한 실험동물로 쓰입니다. 형질전환 마우스(Tg M)와 유전자적중 마우스(KO M)가 바로 그것이지요. 특히 유전자적중 마우스는 2007년 제작 과정이 발표된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인버터 기술’로 낭비되는 전력을 줄여 공기 출구 온도를 낮췄다. 제습기에서 발생한
열
로 다시 전기를 만들어 제습기에 공급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기도 하다.제습기의 소비전력이 적다는 것도 오해다. 일반 가정용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100~200W인 데 비해 제습기의 소비전력은 200~300W로, 거의 두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입힌 ‘섬유배터리(129쪽, PLUS 참조)’나 손목에 붙이면 체
열
로 전기를 생산하는 신개념
열
전소자 등이 나오고 있다. 어떤 플렉서블 배터리가 가장 유연하고 안전하며 뛰어날지 알 수 없지만, 일단 상용화되면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은 엄청날 것이다. 현재 쓰이는 네모나고 딱딱한 배터리는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화학 트랙에 둥지를 틀었다.이들은 앞으로 대학생에게도 세계적인 연구에 참여할 기회를
열
계획이다. 루오프 교수는 “대학생 시절에 학교 성적에 연연하며 수업만 듣는 것보다는 직접 연구에 참여하며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이 앞으로 과학자의 길을 걷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LDSD는 외계인이 타고 온 비행접시처럼 생겼다. 화성대기권에 진입하면 옆면에 부착된 방
열
판(숫자 적힌 부분)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면서 공기저항을 크게 한다 ... ...
가면을 쓰는 비용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본연의 모습대로 살지 못하게 만드는 요소들이 좀 줄어 들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검
열
요소가 많은 사회에서는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 또한 클 테니 말이다.이 기회에 내가 속한 환경이 내 정체성을 얼마나 그대로 잘 받아 주는지 한 번 생각해 보자. 또 내가 누군가에게 빡빡한 기대를 들이밀며 ... ...
진주에서 발견된 별에서 온 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떨어진 지 얼마 안 된 운석은 표면에 검게 탄 흔적이 있어요. 대기를 지나면서 뜨거운
열
에 녹았다가 식으면서 생긴 ‘용융각’이에요. 저희는 주로 규산염 광물로 이뤄진 석질운석과 철과 니켈의 합금으로 이뤄진 철질운석, 규산염 광물과 철이 반반씩 섞여 있는 석철질운석으로 나뉘어요. 지구에서 ... ...
[수학뉴스] 비누막에서 찾은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태양에서 플레어★의 발생 위치를 예측하거나, 난류에서
열
이나 물질이 어떻게 확산되는지를 예상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며, “아직 완벽한 단계는 아니지만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니 앞으로도 계속 지켜봐 달라”고 덧붙였다.플레어★ 태양의 흑점 가까이에서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