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딸기만 골라내려고 한다면, 일단 빨간색이 주를 이루면서 전체적인 모양은 둥글지 않고 약간 각진 것을 골라내야 하죠. 그리고 표면의 모양이나 매끄러운 정도 등 조금 더 세세한 특징을 떠올린다면, 이 특징을 이용해서 수많은 과일과 채소 사이에서도 단번에 딸기를 찾을 수 있습니다.AI가 다양한 ... ...
- 8년 만에 확~ 바뀐 전기요금 체계 우리집은 오를까? 내릴까?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것입니다. 현재 국내에서 발생하는 기후환경 요금은 kWh당 5.3원으로 전체 전기요금의 약 4.9% 수준입니다. 이는 국내 태양광 발전이나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수, 산업적으로 사용하는 화석연료의 비율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박 교수님은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에 따른 에너지원의 변화, ... ...
- [이달의 우주 날씨] 보름달아, 내 소원을 들어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공전하고 있어요. 지구와 달의 거리는 가장 가까울 때는 약 35만 6400km, 가장 멀 때는 약 40만 6700km 떨어져 있어요. 달이 가장 크게 보일 때는 가장 작게 보일 때보다 지름은 14% 더 길고 30% 더 밝답니다.하지만 달이 크게 보이는 시기가 항상 보름달이 뜨는 시기와 일치하지는 않아요. 달의 공전 궤도가 ... ...
- [과학뉴스] 메갈로돈의 ‘거대한 이빨’ 의외로 약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갈로돈의 이빨이 좌우로 먹이를 물어뜯기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라는 의미다. 그동안은 메갈로돈이 진화적으로 점점 더 큰 먹이를 먹게 되면서 이빨도 크고 단단해졌을 것으로 추정해왔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식습관과 상관없이 단순히 몸집이 거대해지며 이빨도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어 로버가 착륙선에서 분리된다. 무게 240kg인 로버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얻어 약 90일 동안 화성 표면을 탐사할 계획이다.톈원 1호의 궤도선에는 총 7개의 장비가, 착륙선에는 총 6개의 장비가 탑재돼 있다. 이를 이용해 표면 토양 특성과 얼음 분포를 조사하고 화성의 기후 특성과 지표면의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신경회로를 형성하고 이를 유지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우리 뇌는 약 수백억 개의 신경세포로 이뤄진 복잡한 기관입니다. 이들은 발생 과정 동안 수많은 시냅스를 형성하고 정확한 신경 회로들을 만들어 냅니다. 이때 축삭 유도가 비정상적으로 이뤄지면 신경발달장애나 ... ...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2시간씩 차를 타고 제주도 해안도로를 돌며 돌고래를 찾아다녔다. 3월부터 11월까지 1년에 약 8개월씩 몇 년을 돌고래를 따라다니다 보니 이제는 조금씩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삶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남방큰돌고래는 제주도 주변을 유영하며 살아간다. 다만 모든 공간을 동일하게 사용하지는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층간소음 너무 괴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2016년 1만 9495건, 2017년 2만 2849건, 2018년 2만 8231건, 2019년에도 2만 6257건으로, 예년에 비해 약 30% 이상 증가한 수치예요. 양경숙 의원은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더 많아지며 층간소음이 늘었고, 보복 소음으로 번지는 등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어요.층간소음은 공동주택에 사는 ... ...
- [가상인터뷰] 시끄러운 터널 폭발음, 상어가 해결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기술의 효과는 약 50%밖에 안 되는데, 상어를 모방한 터널 입구 구조물을 쓰니 폭발음이 약 84% 감소했어. 터널 폭발음을 해결하면, 기차가 터널에 들어갈 때 압력을 줄이기 위해 속도를 줄일 필요가 없어져. 터널 근처에 사는 사람이나 생태계에 소음이 미치는 악영향도 줄일 수 있어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끙끙! 지질학자는 지금 동굴 탐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땅속에서 가끔 발견되는 화석을 연구하기도 해요. 지구에 처음으로 생명이 나타난 것은 약 35억 년 전이에요. 이후 수많은 생물이 진화하고 멸종하길 거듭하며 지금에 이르렀죠. 우리가 과거의 생명에 대해 알고 있는 대부분의 사실은 지질학자들이 고생물학자와 함께 퇴적암과 화석을 분석한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