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비만 유전자’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비만의 원흉으로 꼽히는 FTO라는 유전자가 있다. 상동염색체 한 쌍 중 한쪽에 FTO가 있으면 체중이 1.6kg이 늘고 양쪽 모두 있다면 3.2kg이 는다는 통계 ...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즉 식단 등 생활습관으로 비만이 초래됐다는 뜻이다. 반대로 습관만 잘 가지면 비만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그리고는 한 집단에게는 ‘즐겁지만 상대적으로 새롭지는 않은’ 활동을 하게 하고, 반대편에는 ‘새롭지만 상대적으로는 즐겁지 않은’ 활동을 하게 했습니다. 10주 뒤 새로운 활동 위주로 시간을 보낸 커플들의 친밀도가 훨씬 증가했습니다.[루시 브라운 교수가 실제로 사용하는 ... ...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이 둘을 기준으로 빛의 속도를 측정했던 것이다. 빛의 속도를 약속으로 정한 이후 상황이 반대로 변했다. 이젠 1m가 빛이 1/299,792,458초 동안 진행한 거리로 정의된다.과학자들이 빛의 속도를 약속으로 정한 이유는 워낙 중요하기 때문이다. 물리학에 등장하는 상수 중 빛의 속도가 들어가지 않는 ... ...
- [과학뉴스] 온실가스 배출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허용량을 정한 뒤, 이를 초과한 기업은 초과한 양만큼 배출권을 사야 하는 제도입니다. 반대로 할당량보다 온실가스를 덜 발생시킨 기업은 그만큼 배출권을 팔 수 있지요.우리나라는 2012년 5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및 할당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서 통과돼 올해부터 시행되고 있는데요, ... ...
- [Life & Tech] 낮져밤져 남친 혹시 탈모약 때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노세보 효과가 큰 것 같다”고 말합니다. 노세보 효과란 플라시보 효과의 반대말로 치료가 유해할 것이라고 믿는 부정적인 생각을 뜻합니다. 특히 탈모를 앓는 20~30대 남성들은 부정적인 생각에 빠지기 쉽습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여성 89%가 ‘소개팅에서 탈모 남성을 꺼린다’고 답했고, 61%는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호는 얼음 사이에 낀 채 그저 상황을 견딜 수밖에 없었다.남반구는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다. 애초에 12월에 사우스조지아 섬을 떠난 것도 이 때가 그나마 남극의 ‘여름’이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2월이 되자 그 여름도 끝나갔다. 남은 것은 점점 더 매서워지는 추위와 부족해지는 식량, 연료였다.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것이 측좌핵을 거쳐 식욕조절센터인 뇌 시상하부에 도달해 음식을 먹게 된다. 반대로 배가 부르면 내장지방에서 분비된 렙틴이 뇌로 가서 먹는 것을 멈춘다. 이것이 영양공급과 포만감을 조절하는 ‘항상성’ 기전이다.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반복하는 사람은 이런 과정을 무시한 채 불규칙하게 ... ...
- [수학뉴스] 뒤틀리는 비누막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고리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저항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한편, 고리를 비틀었을 때는 반대로 저항력이 증가하면서 비누막이 아예 뒤틀렸다.비누막은 생체막의 가장 간단한 형태로 볼 수도 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런 연구가 척추동물의 진화 과정에서 생체막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밝히는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둘을 더한다고 보면 됩니다. 빛의 경우 마루끼리, 골끼리 겹치면 더 밝은 빛이 되고요. 반대로 두 파동이 엇갈려 겹치면 둘이 합쳐져 진폭이 0이 됩니다. 빛의 경우는 어두워지는 것이고요.이후 프레넬, 맥스웰, 헤르츠 등 유명 과학자들이 ‘빛의 파동설’에 힘을 실어 줘서 제가 이 자리에 나올 수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인류는 기하학과 대수학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게 됐습니다. 도형 문제를 수로 풀고 반대로 숫자 계산을 도형으로 할 수 있게 된 것이죠.오일러와 5대 ‘영양수’★ 오일러는 π, i, e라는 기호를 만든 수학자입니다. 함수를 뜻하는 f(X)나 합을 뜻하는 기호 Σ(시그마)를 처음 쓴 사람도 오일러입니다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