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거벗김
나출
제시
피폭
벌거숭이
옷
d라이브러리
"
노출
"(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제공했더니 HIV에 대한 면역이 형성됐다(수동면역). 이 침팬지들은 나중에 HIV에 실제로
노출
됐지만 거의 감염되지 않았다. 미국과 유럽에서 70마리의 침팬지를 HIV-1항원으로 면역시켰는데 그 중 12마리에서 중화항체가 나타났다. 이 침팬지들의 몸 안에 HIV를 넣어 주었을 때, 7마리에서 HIV의 감염이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저서생물(benthos)의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약0.01ppm의 수중농도에
노출
된 조개는 사람의 후각으로 기름냄새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우리나라와 같이 연안의 양식장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유출된 기름이 연안을 덮치게 되던 수십억원 이상의 피해를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하고, 광축도 맞아야 한다. 관측목적에 맞는 각종 부가장치도 준비되어야 하고, 오랜
노출
관측인 경우에는 극축도 맞추어야 하며, 이슬을 피할 방법도 강구되어야 한다.천체망원경을 이용한 천체관측을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자. 먼저 처음 망원경을 접한 사람들을 위해 망원경 구성에 대한 ... ...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존재한다. 흙속에서는 다른 미생물처럼 타가(他家)영양적으로 살아가지만 흙위로
노출
되는 경우 광합성을 통해 토양의 1차 생산(탄수화물과 질소고정)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한편 흙속의 원생생물군은 세균 곰팡이 조류를 섭식하면서 이들의 일방적 번식을 억제하면서 균형있는 ... ...
4 자원으로서의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이상)이 높은 지하 깊은 곳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도와 압력이 낮은 지표에
노출
되면 불안정하게 되어 암석을 구성하는 원래의 광물들은 물과 반응하여 분해되고 지표에서 안정한 광물들이 새로이 만들어진다.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은 대체로 그 입자의 크기가 맨눈으로 식별할 수 ... ...
낮과 밤의 리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때문이다. 쟁기가 흙을 일구고 지나갈 때 잡초는 다시 밑을 일구기 전까지 잠깐
노출
되는데 그렇지만 이 잠깐이 충분한 것이다. 그러나 농부들이 밤중에 밭을 일군다면 그 일이 전기불 밑이라 하더라도 절반 정도의 잡초만이 발아를 하는 것이다.따라서 만약 당신이 잡초와 무관하다 해도 밝고 ... ...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라테라이트층은 물을 머금으면 삽으로 쉽게 팔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럽지만, 대기에
노출
되면 벽돌처럼 단단하게 굳는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동남아시아에서는 일찍부터 라테라이트토를 벽돌크기로 잘라 건축자재로 사용하였다. 라테라이트(laterite)는 라틴어의 벽돌을 의미하는 later에서 온 ... ...
바이오스피어2 위기맞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한명이 손가락이 부러지는 사고를 당해 외부로 나오는 등 실험 시작 직후부터 문제가
노출
되기 시작했다. CNN 보도에 따르면 현재 최대의 문제는 산소. 외계의 대기는 산소 비율이 21%이지만 바이오스피어2 내부는 16%까지 산소비율이 떨어지고 있다. 이미 전체 동식물의 13%가 죽어가고 있으며 속에서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대폭발이론이 정말로 성공적 이론이라 하더라도 이 이론이 상식을 벗어나는 문제들을
노출
시킬 때, 혹시 만에 하나라도 이 이론 역시 프톨레미의 천동설과 같은 운명을 지닐 수 있지 않을까에 대한 의구심을 가져도 된다.즉 이론 자체의 근본적 모순 때문에 파생되는 문제들을 관측 불가능한 ... ...
플라스틱 재활용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사용하는 데는 또 다른 중요한 맹점이 있다. 분해되는 플라스틱은 결국 햇빛에 오래
노출
되거나 오랫동안 습기가 있는 곳에 둘 경우에만 분해가 시작돼야 하는데, 현재의 매립 방식에서는 이러한 분해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현대의 위생 매립방법은 침출수나 가스 등 쓰레기가 분해되면서 발생할 수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