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과"(으)로 총 1,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그로 표현하는 리히터규모와 데시벨과학동아 l2007년 03호
- 네이피어와 브리그스가 만든 로그를 이용해 방정식 ${a}^{x}$=b의 해를 멋지게 구했다.수학교과서에서는 로그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을까. a>0, a≠1일 때, 양수 b에 대해 ${a}^{x}$=b를 만족하는 실수 x는 반드시 하나 존재한다. 이때 x의 값은 a를 밑으로 하는 b의 로그가 되고 x=${log}_{a}$b로 나타낸다. 여기서 .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과학동아 l2007년 03호
- 홍길주라는 19세기 조선수학자가 세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셈이다. 제곱근*현재 수학교과서에서 a²의 제곱근은 ±a라고 배운다. 하지만 전통수학에서는 실생활 문제 위주여서 음수 제곱근을 생각하지 않았다. 사실 서양에서도 16세기 후반에야 음수 제곱근을 고려했다 ...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과학동아 l2007년 02호
- 놓이는 시각이 동지점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구하기처럼 위치천문학(Astrometry) 전공교과서에나 나올 법한 내용이 ‘칠정산내편’을 가득 채우고 있다. 1970년대 원로 천문학자들의 노력 덕분에 한글 번역본이 나왔지만, 지금까지도 내용 전체를 이해하는 사람은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 ‘위대한 ... ...
- 셜록 홈즈를 인도와도 맞바꿀 수 없는 까닭과학동아 l2007년 02호
- 비롯된 ‘전쟁’에 대비하는 신세였기에 남의 일로 여겨지지 않았는지도 모른다.이 책은 교과서 밖에서 처음으로 만난 교양 과학도서로 기억된다. 인간의 유전자가 침팬지와 99% 이상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을 때 저자의 혜안에 고개 숙이지 않을 수 없었다. 내게는 진화생물학이나 동물행동학의 ... ...
- 암호처럼 보이는 수열의 비밀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이용하면 일정한 규칙을 갖고 변하는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도 쉽게 분석할 수 있다.수학교과서에서는 수열을 어떤 규칙에 따라 수를 나열한 것이라 정의하고 수열을 이루는 각각의 수를 항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수열은 항에 번호를 붙여 a₁, a₂, a₃,…와 같이 나타낸다. 수열의 제 n항 ${a}_{n} ...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4호
- 없이 떠 있다는 것을보여 주는 마술로 유명하다. 이 마술은 오늘날 공중부양 마술의 기본 교과서로 불린다. 미국 마술의 대부로 불리며 많은 마술사를 키워 냈다. 4. 해리 후디니(헝가리, 1874-1926)특기 메타모포시스수갑과 밧줄에 묶여 있던 마술사는 유유히 풀려나 있고, 대신 다른 사람이 수갑에 ...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과학동아 l2006년 12호
- 71%가 돈을 관행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고등학교 검인정 교과서 141종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비법정단위를 사용하거나 표기를 잘못한 사례가 2478건에 달했다.특히 비법정단위는 지역이나 품목에 따라 기준이 달라 소비자의 혼란이 크다. 논밭의 넓이를 나타내는 1마지기는 지역에 따라 ...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과학동아 l2006년 11호
- 히스톤단백질에 DNA가 감겨있는 뉴클레오솜의 모습은 이제 전세계 거의 모든 생물학 교과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로저 콘버그 교수는 스탠퍼드대에서 전사과정을 계속 연구했으며, 단세포 진핵생물인 효모를 사용해 전사과정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단백질 구성체를 분리하고 정제했다. 그리고 ... ...
- 반도체에 심은 양자컴퓨터 씨앗과학동아 l2006년 11호
- Physical Review D) 10월호에 발표했다.안 교수는 2008년 5월 미국에서 출판될 예정인 양자역학 교과서를 쓰느라 소설 작업을 잠시 쉬고 있다. 그는 ‘과학적인 소설’에 등장하는 양자컴퓨터를 만들어 ‘소설같은 과학’을 실현하기 위해 오늘도 상상의 ‘양자 도약’을 하고 있다 ... ...
-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과학동아 l2006년 10호
- 열리는 다음 IAU 총회에서 행성의 정의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교과서 개정은 좀더 시간을 두고 지켜본 뒤 해도 늦지 않을 듯하다. 왜행성 : 태양 주위를 돌며 둥근 천체로 영어명은 ‘dwarf planet’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