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지난날
예전
태고
왕년
옛적
과거지사
d라이브러리
"
과거
"(으)로 총 3,66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위가 높을수록 키 크다고 느껴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부하였던 때를 쓴 집단은 자신의 키보다 더 작은 아바타를 만들었다. 이 결과는 실제
과거
경험에 관계없이, 가상으로 역할을 맡았을 때도 마찬가지였다.자신감이 키가 실제보다 더 크게 느껴지게 만든 것이다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추정한 결과로는 100억대 초반 이후 안정된다.4 대형 전염병위협 요인70억 지구는
과거
보다 훨씬 더 밀집해 살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인류는 20억 명에 불과했다.지금은 세 배가 넘는다. 단순히 인구가 많다고 위험한 것이 아니다. 20세기 중반 이후 일부 지역에 인구가 집중적으로 몰리는 현상이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벗어나서 유적지 탐사를 가는 날이야. 화성에 무슨 유적지가 있냐고? 화성의 유적지란
과거
지구에서 보낸 탐사선이 있는 곳이야. 일부는 도시로 가져와서 박물관에 보관하고 있지만, 일부는 기념으로 착륙한 장소나 마지막으로 작동을 마친 곳에 그대로 보존해 뒀어. 우리 같은 학생들이 역사를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캐나다 누나부트 준주(작은 주)에 살고 있는 ‘이누이트’가 그 예다. 이누이트는
과거
에 ‘물고기를 날로 먹는 사람들’이란 의미의 인디언 말 ‘에스키모’로 불렸던 민족이다. 주로 수렵과 낚시로 식량을 조달했다. 그밖에 순록을 키워서 고기와 가죽을 얻고, 부족한 비타민을 얻기 위해 해양 ... ...
Special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011년 11월 26일 큐리오시티가 화성을 향해 떠났다. 큐리오시티의 목적은
과거
화성에 생명체가 살았는지를 확인하고 현재 화성의 환경이 미생물이 살기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큐리오시티는 지금까지의 화성 탐사선 중 가장 크며, 가장 발전된 탐사 장비를 갖췄다. 최초로 바위와 토양을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걸렸다. 처음 러시아에서 출발해 독일을 거쳐 호주에서 완성됐다. 우선 러시아에서
과거
핵폭탄에 필요한 우라늄을 정제하는데 썼던 원심분리기를 통해 오직 한 종류인 실리콘-28 동위원소만으로 이뤄진 실리콘 덩어리를 얻어냈다. 그런 다음 실리콘 덩어리는 독일의 표준연구소(PTB)로 이동해 원기둥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1시간보다 약간 길지만 적응이 어려울 정도는 아니다. 실제로 패스파인더나 피닉스 같은
과거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보냈던 화성 탐사선도 이처럼 화성의 하루를 24로 나눈 시간에 맞춰서 활동했다.달력은 그보다 좀 더 어렵다. 화성의 공전주기는 지구 시간으로 약 687일이다. 화성은 지구보다 ... ...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초 미국 지구물리학연맹(AGU)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해 퇴적층이
과거
에 수차례 수위가 바뀌었고 간빙기에는 호수가 줄어들기도 했다. 최후의 빙하기에는 수면이 현재보다는 높았다. 사해 밑바닥 퇴적층에서는 12만 년 전에 사해 물이 말랐음을 증명하는 45m의 소금층과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여기 좀 보세요. 이게 다 가시박입니다.”드넓은 억새밭이 장관인 하늘공원은
과거
이곳이 쓰레기매립장이었다는 게 상상이 가지 않았다. 그런데 억새밭을 벗어나 한강이 바라다 보이는 남향의 비탈에 이르자 풍경이 180도 바뀌었다. 땅은 물론 나무까지 온통 수채통에 걸린 국수면발처럼 ... ...
발 없는 트위터가 천 리 가는 이유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사람(허브)보다 여러 정보가 얽혀 있는 지점(드라이버 노드)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과거
에 네트워크 이론에서는 정보가 네트워크의 중심인 허브에 모인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드라이버 노드가 반드시 중심에 위치하지 않아도 정보를 잘 전달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