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로보비(RoboBee) 프로젝트’는 2009년에 시작됐어요. 미국 하버드대학교의 주도로 로봇 공학자뿐만 아니라 생물, 재료, 전기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지요. 지난 10월 로보비가 비행뿐만 아니라 수영도 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돼 화제가 됐어요. 초당 9~13회 정도로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해, 가상의 비행생명체가 장애물을 피해 스스로 날아다닐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완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양한 경험이 나의 자산”_신현영 연구원저는 화학공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기업 연구원으로 6년을 일했어요. 그런 뒤에 다시 대학으로 돌아왔습니다. 예전에는 연구자라면 한 가지를 깊게 파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고, 그럴 수 없는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 진출을 위해 만들어진 ‘사이보그’영화 ‘저스티스 리그’에는 몸의 절반은 사람, 나머지 절반은 기계인 사이보그가 등장해요. 주인공은 사고로 잃은 신체의 일부를 기계로 대체한 뒤, 로봇 팔을 이용해 충격파를 쏘거나 공간 이동을 할 수 있지요. 기계를 장착한 덕분에 인간보다 뛰어난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감각을 느끼는 로봇팔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이는 실험은 세계 곳곳에서 진행돼 왔어요. 하지만 ‘로봇팔이 느낀 감각을 어떻게 사람에게 전달할 것인가’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었죠. 그러던 2016년 10월,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로버트 가운트 재활의학과 교수팀은 로봇팔의 촉감을 사람에 ... ...
- [과학뉴스]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심우영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이태윤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종이 표면의 거칠기를 활용해 미세구조를 만들어 이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종이 표면에 미세한 굴곡이 있어 두 장을 포개면 완전히 맞닿지 않고 미세한 공기층이 생기는 데서 힌트를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거친 인간들이 이토록 섬세한 도구를 가질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 군사 공학의 기초를 쌓다레오나르도는 평화주의자였지만(심지어 동물의 고통을 생각해 평생 채식만 했다), 그런 그도 현실과 동떨어져 살 수는 없었다. 당시 이탈리아는 내분이 일어나고 프랑스와도 전쟁 중이었다.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전적 특징을 자세하게 밝혀내는 기초과학 연구에서 시작해 생명공학, 의료공학 등 공학 분야와 두루 협력해야 실현이 가능하다. 대학과 병원, 산업계의 협력이 필수다. 인공장기 기술은 향후 사회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렇기 때문에 원하는 인재도 일반 대학과는 다르다. 신하용 KAIST 입학처장(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을 만나 KAIST가 지향하는 인재상을 들어봤다. 2018학년도 수시 경쟁률은 8:1신 입학처장을 만난 시기는 마침 2018학년도 수시 서류심사를 끝내고 1단계 합격자를 발표하기 며칠 전이었다. 2018학년도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 있다. 활용 범위가 넓은 만큼 물리학, 화학공학, 신소재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등 전공 선택의 폭도 크다. 3. 차세대배터리 연구자최근 전자제품의 핵심은 배터리다. 스마트폰과 전기자동차 등 차세대 전자제품은 한 번 충전으로 얼마나 오래 작동하는지에 따라 성능이 결정된다. 배터리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