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28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재의 미래]⑽ 정수기에 쓰이는 열전 반도체, 스마트 워치에도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Bi-Te)와 안티몬텔루라이드(Sb-Te)를 활용했다. 유기 소재로는 전도성 고
분자
인 폴리아닐린 등을 사용한다. 유기 소재와 무기 소재를 결합시키는 접합면을 ‘인터페이스’라고 부른다. 인터페이스를 제어해 각 소재의 특성을 잃지 않고 발현시키는 연구가 핵심이다. 열전 반도체를 구현하려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습기살균제, ‘살인적 사용법’이 문제였다
2021.01.20
흡입에 의한 독성을 간과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살균 물질의 인체 흡입 독성은
분자
의 크기만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상식은 철저하게 외면당했다. 동물실험의 인체 적용이 간단하지 않다는 사실을 당당하게 밝힌 전문가도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화학혐오증을 자극해서 동물실험을 ... ...
[랩큐멘터리] 자연에서 캐낸 생체 소재가 가져온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같은 제약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인류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포스텍
분자
생명공학 연구실 보러가기 https://youtu.be/qP1b-9d37kY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 ...
"코로나19 증상 악화 예측 혈액 검사법 개발"
연합뉴스
l
2021.01.19
이유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혈액 속으로 유출된 미토콘드리아DNA는 그 자체가 염증성
분자
(inflammatory molecule)인 만큼 미토콘드리아DNA 유출로 인한 조직 손상이 그 원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임상 연구학회(ASCI: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Investigation) 학술지 '임상 연구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백신, 코로나19에 맞서는 인류의 신무기
2021.01.19
면역 시스템은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으로 나뉜다. 선천면역은 병원균이 공통적으로 갖는
분자
패턴을 인식하여 활성화된다. 반면 후천면역은 선천면역보다 늦게 활성화되며, T세포를 통한 세포성 면역과 B세포에서 생산된 항체를 통한 체액성 면역으로 구성된다. T세포와 항체는 다양한 조합을 갖고 ... ...
원자 26개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의 마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바뀌는 화학반응을 촉진했다. 백 연구원은 “시간당 클러스터 1개가 이산화탄소
분자
3000개를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로 변환시켰다”며 “추후 클러스터 크기를 밀리미터 수준까지 더 키우면 산업적으로 충분히 활용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 단장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클러스터를 ... ...
코로나 변이바이러스로 재감염 우려 커져...백신 업데이트 필요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전파력이 더 크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브라질 상파울루 대학의
분자
생물학자인 에스터 사비노 교수는 마나우스 지역에서 재감염 사례를 수집하고 바이러스 샘플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변이바이러스의 특성을 조사중이다. 코로나19 백신 관련 WHO의 워킹그룹을 이끌고 있는 ... ...
바이든, 과학정책실장 장관급 격상...인간게놈 이끈 에릭 랜더 MIT 교수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미국 행정부 내각에 장관급으로 참석한다. 에릭 랜더 교수는 수학자에서
분자
생물학자가 됐다. 랜더 교수는 미국 내각에 참여하는 최초의 생물학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랜더 교수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주도했다. 2003년부터 미국 하버드대와 MIT가 공동 설립한 브로드연구소를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마치 자석에 S극과 N극이 있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에 끌려갈 수 있는 것처럼,
분자
가 외부의 전기장에 영향을 받기 쉽다. 연구팀은 이 부분에 착안해 나노자동차의 양쪽 끝에 쌍극자 모멘트를 유도해서 주사터널현미경(STM)이 만든 전기장 속에서 나노자동차가 움직이도록 설계했다. 제2회 ... ...
[한 토막 과학상식] 6G 구현할 기술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21.01.16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파장을 가진 저주파와 달리 고주파는 공기 중의 수증기나 산소
분자
에 의해 쉽게 손실되는 특성이 있다. 고영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6G무선방식연구실장은 “100m 정도 거리에서 테라헤르츠 송수신 사례가 늘고 있지만,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그 성능 차가 크다”며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