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선"(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량"을 승리로 이끄신 '명장' 이순신을 인터뷰하다… 명장 이순신을 만나다.기사 l20140827
- 울돌목에서 물살이 빨라지 는 부분에서 서로 배를 돌리지 못해서 왜 선끼리 부딪쳐서 모두 부서져 버리게 된 것이오. 그리고, 판옥선의 돛은 역풍에도 사용할 수 있는 세로돛을 사용했고, 일본 수군은 역풍에 무용지물인 가로돛을 사용했오. 그러니, 갑자기 바람의 방향이 바뀌 니 힘을 못 쓸것을 염두에 두었소이다. ...
- 기자단앱에 개인이 글을 올리는 것에 대해서도 그만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대놓고 공개탐사기록 l20140826
- 기자단앱에 개인이 글을 올리는 것에 대해서도 그만해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대놓고 공개적으로 그만올리라는 말을 왜하는건지를 모르겠어서요. 아무리 서로 얼굴을 모른다고는 하지만 기자들간의 기본적으로 지켜야할 선은 지켜야하지않습니까? 상당히 어이가 없네요. ...
- 이순신은 정말 대단하다. 영화 '명량'을 보고 와서기사 l20140818
- 꺾이는 것을 막아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이 영화를 보고 이순신장군은 정말 대단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 영화에서는 판옥선 12척과 일본배 330척이 싸웠지만 실제 전쟁에서는 13척과 약130척이였다. 그래도 이 전쟁은 누가 봐도 승리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순신장군에게는 뛰어난 전략과 용기와 통솔력 그리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 ...
- 발명기자단 캠프 에 다녀왔어요 어려운 질문을 맞춰서 어마어마하게 큰 선물을 받았어요 그 선탐사기록 l20140814
- 발명기자단 캠프 에 다녀왔어요 어려운 질문을 맞춰서 어마어마하게 큰 선물을 받았어요 그 선물은 바로 만화가님이 저에게 그려주신 초상화랍니다 섭섭박사님 만나서 반가웠어요^^ ...
- 어디에나 존재하는 방사선 방사선, 잘 사용하면 유용해요.기사 l20140810
- 세계 2차 대전 때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만든 무시무시한 무기가 있었습니다. 바로 원자폭탄 이었습니다. 그리고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폭발! 이 두개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어마어마한 양의 방사선을 뿜어냈다 ... 검사할 때 필요해요. 또 우리가 방사선을 피하고 싶다고 해서 피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
- 방사능, 절~대 위험하지 않아요! 강의를 바탕으로 가상 인터뷰를 해보았습니다!기사 l20140810
- 브라질 가라바리 시에서는 무려!!!! 10mSV라고 하네요. 허걱! 정말 위험하네요. Q3. 그럼 방사선이 없앨 방법은 없나요? 있죠~ 일단 몸에 묻었을 땐 오염물질 제거능력이 좋은 제염제를 사용하고, 아주 아주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나면 반씩 줄어든답니다.반씩요? 그걸 반. ...
- W9806-0805-c11 화성시 10 용사로 능동 현재온도26도 날씨가 습하고 바람도 선탐사기록 l20140805
- W9806-0805-c11 화성시 10 용사로 능동 현재온도26도 날씨가 습하고 바람도 선선하게 붑니다. 하늘에서는 전투비행기가 비행 훈련중입니다. 전철도 지나가네요~ ...
- 열어분 사진속의 왼쪽은 외래종인 Apple Snail 왕 우렁이이구요 오른쪽에 김현태 선탐사기록 l20140629
- 열어분 사진속의 왼쪽은 외래종인 Apple Snail 왕 우렁이이구요 오른쪽에 김현태 선생님께서 들고계신것은 토종우렁이예요. 지금 부터 사진속 우렁이들의 차이점에 대해 댓글달아주세요. 시~~이~~작~~!! ...
- 배추흰나비의 한살이 배추흰나비의 한살이에 대해서 알아보자.기사 l20140607
- 변하니다! 갓 태어난 애벌레는 노란색, 배추잎을 먹으면서 투명한 초록색 약간 선명한 초록색, 선명한 초록색. 이렇게 점점 색깔이 선명해지고 진해집니다. 애벌레는 4번 탈피를 합니다. 애벌레는 탈피를 하면서 3cm정도 까지 자랍니다. 이제 애벌레는 번데기가 될 준비를 합니다. 애벌레가 번데기가 되었습니다. 번데기는 무 ...
- 속초, 아바이 마을을 다녀왔어요!~기사 l20140606
- 거의 살지 않던 바닷가 땅이었는데 6.25동란 때 북에서 피난 내려온 사람들이 전쟁이 끝나면 곧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예상하여 38선 가까이에 있는 이곳에 임시적인 움막 형태의 집들로 처음 정착하면서 집 단촌이 형성되었다. 청호동에는 함경도에서 내려온 피난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까닭으로 "아버지"의 함경도 사투리인 "아바이"를 사용하여 일명 '아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