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때문일지도 모른다.하지만 역설적으로 외부 바이러스의 RNA뿐만 아니라 자체 RNA마저 편집하고 있다.이것은 인간만이 겪는 장수나 스트레스 등이 원인일 수 있다.RNA 자체 변이에 관한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확실한 메커니즘이 발견되거나, 혹은 실험이나 분석이 잘못됐다고 밝혀질 때까지 계속될 ... ...
- [1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낳은 조카와 일개미 사이의 유전적 연관성은 낮아진다. 일개미가 직접 자식을 낳는 편이 더 유리한 것이다. 그래서 일개미들은 여왕의 눈을 피해 수컷과 교미한다. 물론 여왕에게 발각되면 반역죄로 죽음을 맞는다. 끊임없는 반란 속에서도 여왕개미가 강력한 왕권을 지키는 일은 여왕개미만의 ...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집을 만들었는지 알 수는 없어요. 지금도 연세 많으신 어른들과 마을 주민들이 큰 불편함 없이 살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마을은 가치가 있는 것 같아요.” 이준봉 회장의 설명이다.실제로 외암마을이 집성촌으로 형성될 당시 예안 이씨의 누가, 왜 이런 형태로 가옥을 배치하고 마을을 만들었는지 ... ...
- 1화 수학 가디언즈, 첫 시공간 여행 출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주변을 둘러봤다. 이제 보니 우주선은 꽤 널찍한 공간에 냉장고와 TV, 화장실 등 각종 편의 시설들이 구비돼 있었다. 그리고 작은 모니터가 있었는데, 어지러운 빛으로 가득했다. 폴이 두리번거리는 모습을 보고 폴리스가 설명했다.“작은 모니터는 바깥 풍경을 보여 줘. 하지만 시공간 이동 ... ...
- 1억 6500만 년 전 위장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4호
- 지구를 정복하려고 했다가 사람들에게 들켜 구석에 숨어 있는 닥터그랜마예요. 에고고, 아무도 모르게 몰래 들어가려 했는데 그만 딱 걸려버린 것있죠? 그나저나 아까 얼핏 들 ... 커다란 사람은 나뭇잎으로 위장해도 쉽게 발각되지 않을까요? 차라리 투명 망토를 개발하는 편이 낫겠어요 ...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2호
- 오히려 설사를 일으키게 된다고. 그러니 스코빌 척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은 피하는 편이 좋아. 청양고추만해도 5,000SHU 정도로 소화기에 부담이 되지 않지.고추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새가 고추를 먹고 고추의 씨를 북아메리카 지역까지 퍼뜨렸다. 여러 탐험가들이 ... ...
- 만화로 배우는 유쾌한 생물학! 신인철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재밌어 하면서 열심히 답을 적더라고요. 강의를 할 때 직접 그린 만화를 자주 활용하는 편인데, 아무래도 글로만 보는 것 보다 그림과 같이 보면 기억에 오래 남기 때문이랍니다. 신인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암세포와 관련된 연구를 했어요.지금은 한양대학교 ...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쉽게 해 볼 수 있어.조개와 게를 잡자!사량도천문대 앞바다는 바로 부두가 있어서 깊은 편이야. 하지만 물이 쫙 빠지는 썰물 때는 작은 게를 잡거나 조개를 캘 수 있을 정도로 자갈밭이 드러난단다. 이 때는 돌에 달라붙은 굴과 조개를 캘 수도 있고, 돌 밑에 숨은 게도 잡을 수 있지. 어떤 간 큰 게는 ... ...
- 독수리 만 했던 잠자리가 작아진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어떤 동물이니?잠자리는 몸길이가 15㎝ 정도로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곤충 가운데 큰 편에 속해요. 막대기처럼 가늘고 긴 몸에 그물처럼 생긴 날개가 두 쌍 달려 있어요. 세모난 머리에 달린 큰 눈과 기다란 배(꼬리가 아니에요)가 특징이랍니다. 우리나라에는 87종, 세계적으로 5000여 종이 있는데 ...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경사진 산을 오르내리는 모노레일을 이용해 자연 훼손은 줄이면서 어린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자연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했답니다.반딧불이를 위한 특수 조명반딧불이는 불빛에 민감한 생물이에요. 암컷과 수컷이 서로의 불빛을 보고 만나 짝짓기를 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주위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