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특이
"(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 먹고 사는 고세균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살 수 있을까. 미국지질조사회의 프랭크 채플 박사팀은 극한 환경의 리디 온천에서
특이
한 미생물군을 발견했다고 지난 1월 17일자 ‘네이처’에 보고했다.암석에서 얻을 수 있는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결합시켜 에너지를 만드는 이들 미생물은 소량의 메탄을 생성물로 내놓는다. 이들 ... ...
심해 5천m에 새로운 오징어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지금까지 발견된 오징어와 전혀 다르다고 생각한다.벡키온 박사가 이처럼 말하는 근거는
특이
한 다리모양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는 10개의 다리 중 2개가 유난히 길고 굵다. 이를 촉완이라고 하는데 먹이를 잡는 손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새로운 오징어는 10개의 다리가 모두 가늘고 길이가 ... ...
2002년은 말머리성운의 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모양이 말머리를 닮은 것이겠지만, 정말 말머리를 닮은 모습이 신기하기만 하다. 이
특이
한 모습은 1800년대 후반 사진 건판에서 최초로 발견됐다.말머리성운은 오리온자리의 어디에 있을까. 오리온자리는 허리띠에 보석처럼 박힌 세개의 별 때문에 겨울밤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말머리성운은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다른 별들을 정지시켜두고 별들과의 상대적 위치를 비교해보면 목성의 움직임은 좀
특이
하다. 목성은 2월말까지 서쪽으로 움직이지만 3월이 되면서부터 점차 동쪽으로 움직인다. 행성이 다른 별들에 대해 서쪽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역행이라고 부르고 동쪽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순행이라고 부른다. ... ...
바닥이 허공에 떠있는 소음차단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특이
한 모양의 구조를 띤다. 철사망 아래로 보이는 진정한 바닥도 마찬가지다. 이
특이
한 모양의 벽이 소음을 흡수하고 내부로 반사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의 소음이 차단되기 위해 두꺼운 이중상자 구조로 지어졌다.뿐만 아니라 외부의 진동으로 인해 내부에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수소를 발견한 인물로 유명한 헨리 캐번디시(Henry Cavendish, 1731-1810)는 사실 고독하고
특이
한 삶을 살다간 독신 과학자다. 케임브리지대를 다녔지만 학위를 받지 못했고,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을 즐겼지만 청년이 된 이후에는 너무 높고 날카로운 목소리 때문에 늘 웃음거리가 되곤 했다. 이 때문에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본능을 지금껏 유지하고 있는 개는 사람과 정서적인 교감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특이
한 존재다. 개 이외에 어떤 동물이 인간의 생각을 미리 읽고 이에 대해 의식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겠는가. 지구에 생존하는 수많은 동물 중에서 오랫동안 개만이 유일하게 인간의 친구라 불리는 이유다 ... ...
시판허가 내려진 응급피임약 논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성분과 같다니, 어떻게 된 일일까.김숙희 산분인과 전문의는 “사실 노레보는 무슨
특이
한 성분의 독특한 약이 아니다. 성분은 일반피임약의 그것과 비슷하나 다만 그 양이 일반피임약에 비해 약 4-5배로 높을 뿐”이라며 “노레보의 비결은 독특한 성분이 아니라 그 농도에 있다”고 말한다.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알파별 알데바란은 오렌지색을 띠는 1등성이다. 이 별은 색상이 다른 별에 비해 다소
특이
하다. 또 알데바란 주위에는 밝은 별들이 무리지어 있다. 바로 히아데스성단이다. 이 성단은 N자 모습을 하며 쌍안경으로 보면 시야에 10여개의 별이 꽉 들어차 보인다.베스타의 북쪽, 히아데스성단의 서쪽에는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시간당 약 3천개의 대규모 유성비가 뿌려졌다.그렇다면 사자자리 유성우는 왜 33년마다
특이
한 행보를 보이는 것일까? 템펠-터틀 혜성이 약 33년에 한번씩 태양에 접근하는 일과 연관된다. 이때마다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들이 혜성의 궤도상에 흩뿌려지는데, 이것이 바로 사자자리 대유성우의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