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깐
잠시
d라이브러리
"
짧은시간
"(으)로 총 2,0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중생대를 주름잡던 공룡은 어떤 동물이었을까. 너무도 쉽게 공룡들을 생각하지만 파충류와 공룡의 차이를 설명하는 일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악어와 공룡의 차이, 그리고 공룡이 몸을 키운 이유 등을 알아보자.공룡이란 무엇인가. 어떤 이는 오래 전 지구에서 번성하다 멸종된 거대한 동물이라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올가, 폴, 레이첼. 만화영화 주인공의 이름인가? 아니다. 올 여름 우리나라를 찾아온 태풍의 귀여운 이름들이다. 하지만 이름과는 달리 태풍은 엄청난 폭풍우를 동반하고 찾아오는 강하고 무서운 불청객이다. 이들은 먼 적도지방의 바다에서 생겨나 긴 여행 속에서 성장해서 우리에게 도달한다.열대 ... ...
은하 충돌로 새 은하 형성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멀리 떨어져 있는 십여 개의 은하들이 충돌, 응집하는 흥미로운 사진이 허블우주망원경에 잡혔다. 관측된 천체들은 무려 80억 광년이나 멀리 떨어져 있어 초기우주에서 은하가 발생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주의 나이는 현재 약 1백20억 광년으로 추정된다.천문학자들은 ... ...
2. 망가진 생체리듬이 병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하루의 생체리듬이 깨지면 생활이 유지될 리 없다. 일에 대한 의욕이 사라지고 잠도 제때 오지 않아 날밤을 새우는 일이 허다하다. 심한 경우 병원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우울증에 시달리기도 한다.생체리듬이 깨지면 이를 다시 복원하기란 쉽지 않다. 딱히 어떤 치료책을 써야 할지 난감한게 사실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7월에는 장마로 별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비 갠 뒤의 하늘은 어느 때보다 맑고 아름답다. 특히 7월의 맑은 하늘은 은하수의 강물이 흘러 넘쳐 더위에 지친 사람들을 시원하게 해준다. 은하수의 강가에는 견우와 직녀, 오르페우스의 안타까운 이야기도 흐르고 있다.1. 거문고자리(Lyra)● 대략위치 : 적 ... ...
DNA에 암호를 담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사람의 DNA 안에 암호메시지를 숨기는 방법이 개발됐다. 2차대전 중에 나찌 스파이들은 암호가 내장된 점을 문장 끝에 마침표로 찍어 아무런 의심을 받지 않고 우편을 통해 전달될 수 있었다. ‘네이처’지 최근호가 소개한 새로운 암호기법은 이와 매우 흡사하다.분자생물학자 카터 뱅크로프트와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만약 지구에 대기가 없다면 생물이 숨을 쉴 수 없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매일 우주에서 떨어지는 운석과 우주선(cosmic ray)을 견딜 수 없을 것이다. 게다가 밤낮으로 엄청난 폭으로 변하는 기온변화 때문에 큰 고충을 겪을 것임은 불을 보듯 뻔하다. 지구에서 생물들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것은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최초의 복제양 돌리의 몸이 동갑 양들에 비해 많이 노화됐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지난 5월 27일 발간된 ‘네이처’에서 돌리의 경우 세포 노화의 척도로 알려진 염색체 말단 부위인 텔로미어(telomere)가 정상이 아니라는 글이 실렸다. 이 내용을 발표한 사람 중에는 돌리를 탄생시킨 주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푸른 파도와 붉은 태양의 유혹이 강렬해지는 계절. 사람들의 마음은 이미 수영장 속에 풍덩. 이제 부서지는 물방울을 프리즘 삼아 수영장 구석구석에 드러나는 과학적 현상을 살펴보자.놀이나 더위를 피하기 위해 또는 물 속의 먹을 것을 찾기 위해 시작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수영. 세상에 나오기 ... ...
생식의학 어디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시험관아기가 태어난지 불과 20여년. 이 짧은 시간에 생식의학은 급속히 성장했다. 무정자증으로 판명된 남성들도 아기를 가질 수 있게 됐고, 쥐의 생식세포를 이용해 사람의 정자와 난자를 기르는 일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인공자궁이 등장한다면 여성의 임신과 출산의 고통에서 벗어날 것이다.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