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신"(으)로 총 9,4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고전압용 코일, 무선 라디오 등을 발명했다. 하지만 테슬라는 다른 전기공학자들처럼 자신의 발명과 이론을 정리해 논문으로 발표하지 않은데다 기이하고 괴팍한 성격 탓에 처음에는 저평가됐다. 그러나 지금은 미국에서 가장 위대한 전기공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에디슨을 굴복시킨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도전하려고요. 누가 흰 페인트를 많이 칠하나 겨루는 세계대회예요. Q 많은 일을 했는데, 자신이 누구라고 생각하세요?저는 건축가예요. 생각하고 만드는 일을 좋아하죠. 건축이란 어려워서 푸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와 사랑에 빠지는 일인 것 같아요. 지구온난화처럼요. 최근에는 ...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인도 수학자 핑갈라의 책에서였고, 그 전부터 쓰였을 가능성이 높죠. 하지만 피보나치가 자신의 책 ‘산술의 서’ 12장에서 토끼 번식에 관한 문제로 피보나치 수를 설명하면서 유명세를 타서 피보나치 수열이라 불리게 된 거랍니다. 피보나치 수열은 매우 간단하지만 수학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했지만, 이내 적응이 된 듯 술술 써내려갔다. 일부 실험자는 쓰다 보니 규칙을 찾았다며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오타 많아도 뜻 이해하는 이유글을 읽을 때 글자를 하나씩 읽는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글을 인식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더 복잡하다. 오타가 많아도 이해할 수 있는 이유가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어떻게 세상의 모든 사물을 알아보는 걸까요. 인간은 눈을 뜨자마자 엄마, 아빠 또는 자신을 보호해 주고 있는 사람과 눈을 맞추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곧 가족을 알아봅니다. 말을 배우고 나서는 쉴 새 없이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봅니다. 누가 강요하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눈앞에 보이는 사물들이 ... ...
- [매스미디어] 악플의 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4배가 증가했습니다. 이처럼 심각한 악플 문제에 맞서, 예능 ‘악플의 밤’은 연예인들이 자신을 따라다니는 악플을 당당하게 마주하고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피하고 숨기기보다는 오해는 풀고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말하며 올바른 댓글 문화에 대해 생각해 보자는 거지요 ...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필즈상 수상자인 팀 가워스가 2009년에 조합론 분야의 난제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같이 해결하자고 제안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이 제안에 테렌스 타오를 포함해서 40명이 넘는 수학자들이 댓글 토론을 벌였습니다. 결국 문제는 해결됐고, ‘D.H.J. Polymath’라는 저자명의 논문으로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음에도 장기간 연구가 이뤄진 적이 없다는 점에 우려를 표하며 반대했다. 또 주민들은 자신들이 시험 대상이 된다는 생각에 거부감을 느꼈으며, 온라인 청원 사이트(Change.org)를 통해 16만5000명으로부터 GM 모기 방사 반대 서명을 받아내기도 했다.비록 주민 투표 결과만으로 GM 모기 방사 여부를 ...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그는 “좋은 영감은 다양한 경험에서 나온다”며 “지인과의 일화, 옛이야기, 영화 등 자신이 겪는 모든 경험에서 영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지구력도 중요하다. 김 감독은 “일반적으로 캐릭터를 만들고 작업하는 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며 “주인공의 경우 몇 년씩 걸리는 경우도 ... ...
- 우주로봇을 잘 조종하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나타난 걸로 느끼고 깜짝 놀랄 거예요. 따라서 아스트로비는 LED를 깜빡이는 방식으로 자신의 존재를 사람들에게 알린답니다. 기본적으로 ISS 내부는 다양한 t장비들이 내는 소리로 항상 70dB의 소음이 가득 차 있어요. 이 때문에 소리보다는 빛이 더 효과적이지요. 아스트로비가 날아다니는 높이도 ISS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