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세우고 있다. 한 예로, 2019년 10월 이대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진단치료기연구실 책임연구원은 날숨으로 폐암을 진단하는 전자코 시스템을 개발했다. 검진자의 날숨을 담은 비닐에 탄소 막대를 넣은 뒤, 휘발성 미립자가 충분히 붙은 막대를 분석 장치에 삽입하면 미립자의 성분에 따라 ... ...
- [기초과학의 힘] 베일에 싸여있던 물리량 양자 거리를 재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일어나는 정보 손실을 정량화하는 ‘신뢰도’를 정확히 측정할 방법도 없다.기초과학연구원(IBS)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팀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양자 거리’ 측정법을 세계 최초로 고안해냈다. 양자 거리는 두 양자 상태의 차이를 나타낸다. 두 양자 상태의 파동함수가 같으면 양자 거리가 0, ...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호의 마지막 도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내부에 설치하는 탄소섬유에서 섬유 한 가닥이 떨어져 나온 듯했다. 나로호의 상태에 연구원들이 얼마나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였다. 그렇게 하루하루 긴장 속에서 대망의 3차 발사일이 다가왔다. 발사 연기는 발사 실패보다 나쁘다?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할 ... ...
- 과학으로 즐기는 슬기로운 비대면 생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친구들 안녕! 요즘 어떻게 지내고 있니? 나는 생활 속 거리두기를 실천하기 위해 VR기기로 세계 여행을 하고, 앱으로 주문한 음식을 먹고 있어. 초등학생은 20일부터 차례로 등교 ... 단장), 오주현(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연구원), 김원준(한국과학기술 연구원 기술경영학부 교수), ... ...
- [변화2] 우리 가상에서 만나! 공존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존재하는 디지털 친구와 소통할 수도 있답니다. _ 인터뷰 유범재(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단장) “친구들을 가상에서 만날 수 있어요!” Q 4D+ SNS를 왜 만드셨나요?최근 사회적 거리두기로 VR, AR 콘텐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요. 하지만 콘텐츠의 99%는 혼자 체험하는 ... ...
- 비대면 사회, 문제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정보가 온라인을 통해 공유되고 있기 때문이지요. 오현주 연세대학교 바른 ICT연구소 연구원은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수준*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며, “앞으로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제도나 교육이 매우 시급하다”고 지적했답니다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이무성 KAIST 물리학과 시간역행반사연구단 및 의광학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고해상도 현미경 기술 개발, 광학 집게를 이용한 세포 역학 연구 등 의광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lkaamo@kaist.ac.kr 용어정리* 공간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영상이나 패턴을 표시하기 위해 빛을 ... ...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연구 인프라가 갖춰지고 있다. 한 예로 9월 3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안전, 소재, 반도체, 양자 등 9개 주제로 ‘버추얼 랩(Virtual Lab)’을 꾸렸다. ‘가상 연구실’이라는 뜻을 가진 버추얼 랩은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자들이 자료를 공유하고 비대면 회의를 할 수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조직에 성성숙의 결과인 난포와 백체를 모두 지니고 있었다. doi: 10.1136/vetreccr-2019-000860김 연구원은 “큰머리돌고래는 일반적으로 7살이 넘어야 성성숙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며 “큰머리돌고래가 우리나라 남해안에 서식하고, 알려진 것보다 이른 나이에 성성숙이 진행될 가능성을 확인한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과학동아 l2020년 10호
-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맡아 2021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 개발을 이끌었다. gwcho@kari.re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