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가지"(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여름이다. 축 쳐지는 더운 날씨, 거리를 파랗게 물들인 나뭇잎들이 “나 여름이야!” 하고 외치는 듯 하지만, 사실 여름은 훨씬 전부터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있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로 말이다. 바로 약간 비릿한 듯 하면서도 싱그러운 여름 냄새다.복사기 옆에 서 있으면 비릿한 냄새를 맡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보 16만 개를 달달 외웠으니 이길 수밖에 없겠다고? 바둑은 기보를 외운다고 할 수 있는 게임이 아니라니깐! 그럼 기억력 좋은 사람이 무조건 바둑에서 이기게? 내 진짜 실력은 기보에 나온 고수들의 방법을 스스로 공부하고 이길 수 있는 수를 열심히 계산한 데서 나와. 그게 바로 ‘딥러닝’이 ... ...
- [출동! 섭섭박사] 주스가 쫄깃쫄깃 젤리로 변신! 분자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섭섭박사님이 이번엔 대전에 나타났어요. 기자단 친구들과 섭섭박사님이 대전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에 모였거든요. 오늘의 도전과제는 분자요리 만들기! 요리사로 변신한 박사님과 친구들은 어떤 요리를 만들었을까요?분자요리는 음식의 성분, 요리의 과 ...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뉴스 속보입니다. 정체불명의 바이러스가 서울의 한 병원에서 발생했습니다. 감염자는 지능이 낮아지고 피부가 썩는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몸이 뒤틀리고 행동도 느려집니다. 문제는 감염이 쉽다는 것입니다. 감염자는 팔다리를 물어뜯는 등 매우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렇게 공격을 ... ...
- [참여] 이런 게 다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첫 강연은 이승재 연구원의 ‘판타스틱 듀오, 수학과 건축’.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거나 익숙한 구조물을 예시로 들며 건축에서 수학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건축물의 실용성, 아름다움, 그리고 안정성, 세 가지 측면에서 수학의 필요성을 들었다.반구형으로 된 지붕인 돔 구조가 ...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학생들이 늘 수학에 대해 생각하고 수학에 대한 무한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활동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수학문집 만들기가 좋은 사례입니다. 무엇보다 학생들 스스로 자신과 친구들이 활동한 일들을 비교하고, 다시 정리하며 새롭게 평가할 수 있는 소중한 계기를 제공하는 데 그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약 35억 년 전 모든 생명체의 공통조상이 등장한 뒤 생명체는 고세균, 세균, 진핵생물이라는 세 왕국으로 갈라섰다. 진핵생물 외에 고세균과 세균을 묶어 원핵생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진핵생물은 세포 안에 금고인 핵을 만들어 생명의 정수인 DNA를 따로 보관하며, 단백질의 번역을 돕는 기관(리보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레드 불’, ‘핫식스’같은 에너지음료의 인기가 사그라지지 않는 가운데, 이번에는 반대로 잠들게 해준다는 음료가 출시돼 관심이 뜨겁다. 밤은 짧고, 잠을 자야만 하는 사람들을 정말 음료로 재울 수 있을까.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5월 초, ‘슬로우 카우(Slow Cow)’를 판다는 편의점 열 군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인공 광합성 연구는 요즘 ‘핫’한 주제다. 너무 많아서 고민인 이산화탄소로 고부가가치의 화학물질과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니, 꿩 먹고 알 먹는 연구다. 인공 광합성의 핵심은 ‘식물의 광합성 회로를 인공적인 재료로 얼마나 잘 구현하는가’다.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지난해 수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2학기부터 중학교 1학년 수학 시간이 확 달라진다! 선생님 목소리만 들리던 조용한 교실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왁자지껄 떠드는 시간으로 바뀐다. 팀을 짜서 과제를 수행하는 프로젝트 수업이 통계 단원에 도입되기 때문이다. 과연 어떤 모습일지 미리 엿보자. 교과목 중에 가장 중요한 과목을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