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놀이터, 폴리매스!1998년 필즈상 수상자인 티모시 가워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는
여러
사람이 힘을 합쳐 수학 문제를 풀 수 있는지 궁금해했습니다. 그러던 2009년 2월 1일 가워스 교수는 증명이 어려운 수학 문제 하나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립니다. 이 문제는 7주 만에 40여 명이 힘을 합쳐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제가 받은 영감을 표현하곤 합니다. 시인의 상상을 돕는 기하학함 작가님은 “수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기하학을 가장 좋아한다”며 수를 다루는 분야보다 공간을 상상하는 일이 더 흥미롭다고 운을 뗐습니다. 그래서 대학을 졸업한 뒤에도 도형의 위치와 형상을 연구하는 분야인 위상 수학을 ... ...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이용해 문제를 풀었다면 이렇게 재미있는 연구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동안
여러
수학자와 공동 연구를 해봤지만, 웨이스 교수처럼 거리가 먼 분야의 전문가와 공동 연구를 한 것은 아주 특이한 경험이었다 ... ...
생명을 살리는 기적의 ‘1시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응급센터를 찾지만, 사고로 크게 다치면 권역외상센터로 와야 해요. 그래야 10분 안에
여러
명의 의사에게 집중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어요. Q. 권역외상센터의 목표는 무엇인가요?A. 치료받으면 살 수 있는 환자를 최대한 살리는 거예요. 2015년, 우리나라에서 살 수 있었으나 제때 치료받지 못해 ... ...
수콤달콤 주스가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해변에 달콤한 주스를 파는 가게가 있어요.
여러
나라에서온 관광객이 코코넛 주스를 사려고 합니다. 그런데 나라마다 돈의 단위가 달라요. 우리나라 돈으로 5000원인 코코넛 주스한 잔의 가격은 다른 나라 돈으로 얼마일까요? 같은 코코넛 주스지만, 가장 큰 수의 금액을 내야 하는 나라와 가장 작은 ... ...
얼마면 되니~? 내 마음대로 은행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돈의 단위는 나라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돈의 단위가 큰 편이에요. 우리나라 돈 1만 원이 미국 돈으로는 약 9달러, 유럽 ... 하지만 돈의 액수가 크더라도 자릿값만 알면 정확하게 읽을 수 있어요.
여러
분이 은행원이라고 생각하고
여러
가지 돈의 액수를 읽어볼까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보물을 품은 거인? 고대 유적의 비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그렁그렁 행성을 떠난 뒤로 해롱 호 승무원들은 딱지의 눈치를 봤습니다. 하지만 선장만은 예외였습니다. “흥! 저 녀석이 계속 임무를 받아버 ... 됐어요. 지금은 우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쓰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여러
매체에서 과학을 재미있게 전해주는 일도 하고 ... ...
[논문탐독] 세포를 시공간적으로 살피다, 4D 뉴클레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어떤 방식으로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지 베일에 싸여있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여러
연구를 통해 인핸서가 DNA ‘접힘’ 현상을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일직선상에서 멀리 떨어진 인핸서와 유전자는 DNA가 접히면서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워집니다. 이때 인핸서와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UV 레진으로 햇빛을 잡아보자 선캐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고분자 화합물의 기본 단위가 되는 작은 분자를 의미합니다. 운동장에 아이들이
여러
명 뛰어다니는 모습을 상상해 봅시다. 아이들 한 명 한 명이 단위체에 해당합니다. 간혹 친구와 삼삼오오 손을 잡고 다니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이들을 올리고머라고 부릅니다. 단위체가 소규모로 중합한 거죠 ... ...
한눈에 익히는 연립방정식과 기계학습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없는 데이터 사이에서 관계성을 찾는 방법입니다. 흩어져있는 데이터 사이에 추세선을
여러
개 그린 뒤, 여기서 데이터를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추세선을 찾는 것이죠. 이때 데이터와의 오차가 가장 작은 추세선을 찾는 과정이 바로 연립방정식을 세우고 푸는 과정이랍니다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