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종
종양
수 합체의 뜻
폐해
cancer
d라이브러리
"
암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암
발병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했다는 통계결과가 있다고 하자.여기서 냉장고보급이
암
발병을 늘렸다는 결론을 이끌어 낸다면 억지춘향이다. 단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무관하게 존재해온 두가지 사실이 있을 뿐이다. 이렇게 명백한 통계적 사실이라도 무의미하고 엉터리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 ...
곤충들의 짝짓기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재차 딱총나무로 돌아간다. 이 유시충은 딱총나무잎 뒤에 유성생식을 하는 수컷과
암
컷의 유충을 낳아 놓는다. 그들이 성숙하면 짝짓기하고 나무껍질이 터진 틈에 월동하는 수정란인 알을 낳아 붙인다. 이듬에 또다시 그들의 생은 반복된다.이렇게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고 사는 모든 진딧물의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원자력병원 김창민박사팀 등 한 손에 꼽을 수 있는 연구팀들만이 이 분야에 적극적이다.
암
관련 연구 가운데에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p53이 웬지 국내에서는 홀대받고 있는 느낌이다 ... ...
남자는 뇌가 크고 여자는 뉴런이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박사는 말했다. 15년전 그는 수컷이 비교적 큰 '전이대체 신경세포군'을 갖고 있고
암
컷의 것은 작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고르스키 박사는 이 신경세포군을 15년이나 연구해 왔지만 아직도 그것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모르고 있다고 말한다."가장 그럴 듯한 설명은 그것이 성행동과 관계가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아니면 호적등재 문제가 거론된 것으로 보아 입양되었을 가능성이다. 이것은 물론
암
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지만 사실 베른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하려는 아인슈타인에게 리젤은 위협이 되었다. 사생아를 낳았다는 낙인이 찍히면 치명적인 타격이 되기 때문이었다. 그들의 수입도 보잘 것 없었고 ... ...
새로 밝혀진
암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암
세포는 급격하게 증가하기 위해 정상세포보다 많은 영양을 필요로 한다. 그들은 그 식욕을 채우기 위해 스스로 혈관을 끌어가 버린다. 최근 ... 메커니즘이 해명되면 이상증식을 하고 있는
암
세포를 가라앉히거나 정지기에 있는
암
을 영원히 정지한 상태로 멈추어 둘 수 있을지도 모른다 ... ...
3 '게놈 산업' 성패, 기술혁신에 달렸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진단하고 있지만, 21세기 중반 또는 후반에는 피검사만으로 환자의 모든 유전적 요인들,
암
유전자와 바이러스유전자의 존재 유무 등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이러한 측면에서 현재까지 개선되고 있는 게놈분석기법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신기술 신기법들은 크게 두 종류로 ... ...
인간진화, 성공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어떻게 설득할 수 있을까?이 소극적 의식은 또 역의 실수를 낳을 수 있다. 예컨대
암
세포의 경우 면역시스템이 이것을 공격하지 않는 것은 타자의 표식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기가 자기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어떻게 설득할 수 있을까? 이것은 소극적으로 규정된 자기의식에서는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했다.간이식 성공률은 실제 알려진 것보다 그렇게 좋은 편이 못된다. 수혜자가 간경변, 간
암
등 원인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70-80%까지 떨어진다. 13명의 간이식과 2명의 부분간이식자 가운데 10명이 생존해 있다. 췌장과 신장은 이식 후 부작용이 발생해도 다시 떼어내면 되므로 생명과 ... ...
'하나로' 본격 가동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중성자를 이용한
암
치료 연구도 보다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다.홀로서기 성공하나로는 8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미 80년대 초 원자력발전소를 여럿 건설하기 시작한 우리나라로서는 본격적인 연구용원자로가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