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비즈니스
비지니스
실업
기업
업무
상업
d라이브러리
"
사업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또한 유전체연구소는 현재 10만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일배체형 분석
사업
을 준비하고 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배체형·SNP에 대한 정보가 한국인을 대상으로 활용할 때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한국인 특유의 일배체형을 발굴하기 위해서다. 비슷한 예로 영국은 자국민 7천만명 중 ... ...
3. 유전자 조절 비밀 간직한 메틸레이션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진행하고 있다.특히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간유전체연구실에서는 인간유전체기능연구
사업
의 일환으로 RLGS 기술을 이용한 후성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인에게 많이발생하는위암과간암세포에서어떤유전자가DNA 메틸화에 의해 기능이 소실되는지 밝혀 항암치료를 위한 표적유전자로 ... ...
학사 출신 연구원 다나카의 수상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발표하던 당시 다나카 연구원은 교토의 정밀기기제작회사인 시마즈제작소의 분석계측
사업
부 소속으로 직책은 주임에 지나지 않았다. 1978년 도후쿠대 전기공학과에 입학한 다나카 연구원은 1년을 유급해 5년만에 졸업했다. 졸업 후에는 가전업체인 소니에 지원했다가 떨어지자, 시마즈제작소에 ... ...
2. 산유국의 꿈 폐기물에서 일군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
으로 상용플랜트를 개발하면서 시작됐다. 현재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
으로 추진되는 상용플랜트의 개발이 원만히 진행되고 있고, 정부에서도 폐플라스틱의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기술로서 높이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곧 상업화가 가시화될 전망이다.특히 2003년부터는 ... ...
3. 이산화탄소 격리 기술의 허점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등을 상대로 이산화탄소를 1t당 2달러에 매입해 대양에 폐기하는 방식으로 돈을 번다는
사업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한 캘리포니아에 있는 오션 사이언스 회사는 동일한 철비료 기술로 ‘녹색 꼬리표’(green tag)를 상품화할 계획이다. 녹색 꼬리표는 이산화탄소 1t이 대양 플랑크톤에 의해 제거된다는 ... ...
한국인이 생성과정 밝혀낸 마이크로RNA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지난 17일 서울대 ‘BK21 생명과학 인력양성
사업
단’의 김빛내리 교수팀은 마이크로RNA가 세포 내에서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규명한 연구 결과를 유럽의 저명한 생명과학 잡지인 ‘엠보’(EMBO) 9월호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 ...
천상으로 뻗은 고속도로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개최하기도 했다. 이 회의에는 재료과학·교량건설·항공기술 분야에서부터 법률·
사업
·투자 분야에 이르는 각계 전문가가 참여해 우주엘리베이터에 대한 열띤 토론을 벌였다.우주엘리베이터란 무엇이고 어떻게 가능할까. 그리고 왜 필요한가. 과학자들이 꿈꾸는 우주엘리베이터에 한번 올라타보자 ... ...
1. 21세기 그린변혁 꿈꾸는 개척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TV 프로그램처럼, 2010년
사업
단에게 월계관을 씌워주는 상상을 해보며, 도전하는
사업
단과 이 단장을 거칠 것 없는 21세기 프론티어, 개척자라고 부른다 ... ...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
사업
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수 있이 더 유용한 자원”이라고 말했다.인공씨감자 전문가에서 자생식물이용기술
사업
단의 지휘자로 변신한 정 단장은 처음의딱딱해 보이는 모습과는 달리 연구분야를 설명해 주면서 시종일관 웃음을 잃지 않았다. 자신이 하는 일을 진정 좋아하는 사람에게서만 찾아볼 수 있는 모습이랄까. ... ...
3. 황금꽃으로 다시 피어나는 야생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개발해 세계로 진출하는 일이 시작되고 있다. 과학기술부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
사업
단’에서는 야생화 개발을 주요 과제로 선정했다. 유망자생화훼와 관상수목을 개발해 상업화시키는 체계적인 노력이 시작됐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필자가 연구의 총괄책임을 맡았다. 2000년 6월부터 서울여대,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