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과학동아 l2002년 07호
- 트랜지스터가 작동되는 것이 바로 ‘단전자 트랜지스터’다.기존의 트랜지스터는 수백만개의 전자들이 흐를 때 작동된다. 이때 전자들이 밀집된 공간을 서로 밀치며 이동하기 때문에 상당한 열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두 전극 사이를 하나의 전자만이 이동하도록 돼 있기 ... ...
- 얼음 목걸이 두른 태양계의 꽃미남 토성과학동아 l2002년 07호
- 크기까지의 얼음 덩어리다. 이들이 약 7만km의 폭에 걸쳐 흩어져 있지만, 고리의 두께는 수백m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얇은 두께 때문에 토성의 고리는 29년에 2번씩 지구에서 바라보는 시선과 나란해질 때 보이지 않게 된다. 보이저는 이런 고리 속을 과감히 뚫고 지나가기도 했는데, ...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이온들이 만들어진다. 이들이 형광등 한쪽에 발라 놓은 백색을 내는 형광물질과 충돌해 백색을 내게 되는 것이다. 같은 원리로 조그만 형광램프를 만들어놓고 이 안에 바르는 형광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빨강, 초록, 파랑색의 빛을 내는 미니 형광램프들을 만들 수 있고 역시 이들을 전체화면 ...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과학동아 l2002년 07호
- ● 충격량 = 질량×속도 = 배트맨의 팔에 가해지는 힘×시간 배트맨의 팔에 가해지는 힘= (1백kg×31m/s) / 0.1s = 310000N배트맨의 이같은 행동은 허리에 강철 케이블을 매달고 번지점프를 하는 것과 똑같다. 이후의 배트맨 시리즈에선 갈고리가 달린 줄을 강철 케이블 대신 번지점프용 고무줄로 대체해야 할 ...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메우던 녹화된 테이프들은 결국 찰나적인 기록에 불과한 것임을, 기억이란 어차피 백업 불가능한 것임을 기록 아닌 기억을 하는 기계 AV 하드레코더는 가르쳐 주고 있다.● ● 카 네비게이션 또한 기억의 길에 접어든다. 길눈이 밝다 어둡다라는 말은 결국 무엇인가. 공간지각을 통한 기억에 관한 ...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요소질소(BUN), 요산 등 총 9가지다. 콜레스테롤류와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심혈관계, 단백질, 알부민, 글로불린은 간기능, 포도당은 당뇨병, 요소질소는 신장 기능, 요산은 통풍과 관련이 있어 중요하다.특정 성분을 추정하기 위해서 가장 알맞은 파장의 대역은 서로 다르다. 그래서 다른 성분들이 ... ...
- 중국서 최초 꽃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02년 06호
- 과일의 심피(心皮) 안에 있기 때문이다. 심피는 꽃의 여성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1천6백여개의 분자 지표를 분석한 결과 은행나무와 같은 겉씨식물보다는 꽃을 피우는 속씨식물에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이번에 발견된 화석 식물은 오늘날 주로 지상에서 자라는 개화식물과 달리 수련처럼 호수나 ... ...
- 목성의 새로운 가족 11개 위성 발견과학동아 l2002년 06호
- 간의 탐색결과 목성의 달은 거의 2배로 늘어났다. 연구팀은 최종적인 달의 개수가 80-1백10일 것으로 내다봤다.이에 대해 국제천문연맹의 브라이언 마스덴은 “실질적인 문제는 목성 위성의 이름 붙이기”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목성의 위성들은 그리스·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제우스의 연인을 본따 ... ...
- 1. 전산유체역학이 추정한 가상 시나리오과학동아 l2002년 06호
- 4억t이 되도록 설계했다.두 댐 간의 유로는 금강산댐 바깥쪽을 폭 50-60m, 평화의댐 안쪽을 1백m로 가정했으며, 강바닥에서 강기슭까지 유선형으로 설계했다. 초기 강기슭 기울기는 38°, 강을 벗어나면 약 10°기울기로 평지까지 퍼져나가는 모습으로 설계해 최대한 강의 단면에 근접하도록 했다. 총 ...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과학동아 l2002년 06호
- 때문에, 이 단백질의 기능을 차단하려면 그 구조가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 그러면 단백질의 구조와 딱 맞는 약물을 개발하는 일이 훨씬 쉬워진다.그래서 생물물리학자들은 생물물리가 21세기에 가장 유망한 물리 분야라고 얘기한다. 20세기에 물질의 근본적인 구조를 밝히는데 혁명적이었던 물리학은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