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힘살
근조직
심줄
살
힘쌀
근골
cric
d라이브러리
"
근육
"(으)로 총 1,929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작았지만 뿔공룡에서는 프릴(frill)로 발전해 목을 덮을 정도로 커졌다. 프릴은 커다란 턱
근육
의 발달을 도와 더 강력하게 식물을 씹을 수 있게 했다. 마르지노케팔리아에는 박치기공룡인 파키케팔로사우리아와 뿔공룡인 케라톱시아 등 두 종류가 있다.파키케팔로사우리아(Pachycephalosauria)는 두꺼운 ... ...
식중독 단백질로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독소단백질을 투여했는데, 생쥐의 음식섭취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근육
의 약화로 위에 음식물이 오래 남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생쥐의 체중은 3주 후 별다른 부작용 없이 14%가 감소했다. 그러나 70일이 지난 후에는 다시 식욕을 회복해 체중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 ...
일찍 일어날수록 기분이 나빠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계속됐다. 클로우 교수는 10주 동안 이 실험을 반복한 후 “일찍 일어나는 사람일수록
근육
의 통증과 두통, 그리고 감기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혹시 일찍 일어나면 수면시간이 부족해 스트레스를 더 받는 것이 아닐까. 그렇지는 않다. 이 실험에서는 두 그룹 간 수면시간의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인품과 정신을 그대로 그려내는 것이 더욱 중요했다. 그러므로 해부학을 연구해서 얼굴
근육
의 정확한 위치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관찰하고 묘사하려는 서양의 추구와는 달리, 얼굴은 평면적이고 자세는 딱딱하지만 그림 전체에서 풍기는 인물의 기품을 숭상했다. 때문에 관습적으로 굳어진 왼쪽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각 공룡이 어떻게 움직였으며 전반적인 몸의 형태는 어떠했는지는 해부학 지식만 있다면
근육
이 붙어있던 곳을 계산해 쉽게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갑옷 입고 꼬리로 공격초식공룡은 아침에 깨어나면 주위에 널려 있는 나뭇잎들을 그냥 서서(아무런 노력없이) 뜯는 것으로 하루 일을 시작한다.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비해 훨씬 작용이 약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나중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심장 부위의
근육
에는 PDE가 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었다.이런 상황에서 1992년 내약성 실험(최대 용량을 투여해 부작용을 관찰하는 실험)에서 흥미로운 ‘부작용’이 발견됐다. 8시간마다 50mg을 10일간 복용한 사람에게서 다른 ... ...
2. 대머리 치료하고 몸매를 날씬하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비만은 심장병이나 고혈압의 발병률을 높일 뿐 아니라 무거운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
근육
이나 골관절에 무리를 줌으로써 관절염에 잘 걸리게 만든다. 그래서 과거에 ‘좀 오동통한 것이 복스럽다’는 통념은 깨지고, 다른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1차적인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 ...
1. 열대기질 한대기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말이다. 열대의 과이완 상태가 생각을 멈추도록 하는 것처럼 한대지방에서도 모든
근육
이 과긴장 상태로 들어가 판단중지와 같은 둔감한 상태에 이른다. 극과 극은 통한다는 말이 여기에서도 적용된다. 온대지방의 학교들이 여름에 방학하는 것은 열대형의 판단 중지 상태가 오기 때문이며 겨울에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파헤치는 인간게놈 프로젝트가 애초보다 2년 빠른 2003년에 완성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근육
형성 유전자이든 운동신경 유전자이든 원하는대로 인간의 형질을 찾아 바꿀 수 있는 ‘설계도’가 만들어지는 셈이다.만일 이런 일들이 실현된다면 미래 인간은 어떤 외모를 갖추게 될까. 홍욱희 소장은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환경에 경계하는 반응의 일종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을 뿐이다. 태아의 모든
근육
이 긴장해 움직임이 잠시 멈춰진다고 주장한 학자도 있지만, 이 가설은 아직 과학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마지막으로 태아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머니의 정서 상태를 들 수 있다. 쉽게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