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경우도 있지만 보통 변광성은 별의 밝기가 수일~수백일에 걸쳐 주기적으로 변한다.
겨울
하늘 첫머리에 나타나 영롱하게 밤하늘을 밝히는 페르세우스자리의 베타별 알골은 대표적인 변광성이다. 알골은 주성과 동반별이 서로를 공전하면서 밝기가 변하는 ‘식변광성’으로 2일 21시간마다 2등급에서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래빗의 중절모를 챙기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 상선과 상선 사이로 몰아치는 바람은 한
겨울
계곡을 따라 흐르는 시내처럼, 귓불이 쩡쩡 어는 소리가 들릴 정도였다. 래빗은 시선을 밤바다에 고정한 채 고개만 끄덕였다. 입가에 미소가 맺혔다가 사라졌다. 래빗의 독백이 들려왔다.“이게 진짜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않은 물에도 내려앉는다 해안에서 단독 또는 무리지어 헤엄치며 잠수하여 먹이를 찾는
겨울
새물 스트레스 지표는 실제 사용하는 물의 양과 사용가능한 최대량의 비율이다 사용가능한 최대량은 자연에 순수하게 유입되는 물의 양으로 빗물의 총량에서 증발한 양을 빼면 된다 우리나라의 사용가능한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있으며 태양과의 거리는 불과 2만5000 광년밖에 되지 않는다.이 은하는 크기가 작은데다
겨울
철 은하수 중심의 암흑물질과 먼지에 가려 그동안 발견하기 어려웠다. 게다가 이 은하를 이루는 많은 천체들이 큰개자리 주변에 흩어져 있어 어려움이 더했다.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워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완전히 없어져 버리고
겨울
이 되면 극지가 안개로 덮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봄이 되면
겨울
의 안개가 걷히고 크고 빛나는 새로운 극관이 나타난다 이것이 생기는 이유와 그 과정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다항공공학에서 쓰이는 의미와 전자공학에서 사용되는 의미, 두가지가 있다 항공 공학에서의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기압을 높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열대와 같이 기온이 높은 여름과 비교적 온화한
겨울
을 가진 기후 강수량이 적은 지방이 많으나 연강수량 2,00mm 이상의 지방도 포함된다 강수량의 다소와 그 계절의 변천으로 아열대사막기후 · 아열대스텝기후 · 지중해식(冬雨)기후 · 아열대다우기후 등으로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재활용율은 70%가 넘어 꽤 높은 편이다. 분리 수거된 페트병은 녹여서 섬유를 만드는데
겨울
옷 속에 채우는 솜이나 충진제로 쓰인다. 나머지는 소각해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페트병의 무게를 더 줄이는 연구도 한창이다. 500ml 생수병 하나를 만드는데 우리나라는 18g의 페트를 쓴다. 유럽의 일부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지나가는 가을 밤하늘은 쓸쓸하다. 수많은 1등성이 하늘을 화려하게 밝히는 여름이나
겨울
과 달리 가을 밤하늘엔 1등성이 하나 밖에 없어 더 그렇다.그런데 가을 정취가 물씬 풍기는 별자리 지도를 보다보면 난데없는 ‘봄’과 마주친다. 남쪽하늘 물고기자리에 있는 춘분점. 봄의 시작을 알리는 ... ...
PART3 '뚝딱뚝딱' 인공위성 DIY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제어회로에 사용되는 소스 코드를 만들어 칩에 저장하는 작업을 마쳤다. 올
겨울
캔샛 본체까지 모두 만들면 공군의 도움을 얻어 2km 상공의 비행기에서 떨어뜨린 뒤 온도와 기압 같은 측정데이터를 지상국에서 수신하는 일이 목표다.이 프로그램의 지도를 맡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장태성 박사는 ... ...
PART2 유니버설 백신 디자인을 향해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폭우에 찢기거나 강풍에 뒤집히는 격이다. 올해 WHO가 얼마나 정확하게 예측했는지는
겨울
에 드러날 것이다.만약 WHO가 예측한 바이러스의 정확도가 낮다면 전세계 독감 환자 수가 증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 돌연변이에 대항할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요즘은 매년 접종할 필요 없이 한 번만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