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퍼지이론 병렬처리 등 인공지능과 관련된 수많은 연구갈래들이 제시됐고 이에 관한 연구
결과
들이 잇따라 발표됐다. 이들은 민스킨 만큼은 아니지만 '연구를 계속하면 인공지능에 좀더 가까워지겠지'하는 확신을 품고있었다.이러한 낙관론과는 반대로 'AI가 당초부터 불가능하다'는 반론도 오랜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1, 2, 3위를 차지한 미시건대 웨스턴 워싱턴대 매릴랜드대 팀의 활약이 기대됐다. 그러나
결과
는 미시건대팀이 3위, 웨스턴 워싱턴대팀이 5위를 차지하는데 그쳤다.월드 솔라카 챌린지는 아침 6시 30분부터 저녁 9시 30분까지 펼쳐지는데 특별한 규제나 규칙이 없다. 대회의 한 관계자는 "인간이 처음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검사를 통해 정신분열증이 좌반구장애임을 입증했다. 또한 그는 뇌전산화단층촬영
결과
뇌실(腦室)이 커져 있음을 발견했는데 그 이유는 대뇌 피질의 위축때문이라고 설명 했다. 이는 인지 기능의 손상을 일으킨다고 했다.치료는 전반적으로 약물치료 및 정신치료가 병행되며 양성증상의 경우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침대에 눕혀 잠만 자게 하는 등 최소한의 자극마저 줄인 환경에서 3일간 지내게 했다. 그
결과
뇌는 완전히 휴식상태가 돼 활동능력이 대폭 줄었다고 한다. 심지어는 '2+5'와 같은 간단한 계산도 할 수 없을 정도가 됐다.뇌는 자극을 받고 이에 반응함으로써 단련되며 개발된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 ...
허블 망원경이 찍은 대폭풍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변화상은 그동안 과학자들이 예측하던 것과 일치하였으며 이 또한 대단히 만족스러운
결과
다.토성의 폭풍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느냐고? 일반적으로 하부대기층으로부터 솟아오르는 가스라고 짐작된다. 토성의 대기는 암모니아로 가득한데 바로 이 암모니아가 위로 솟아오르며 흰 수정처럼 얼어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최초의 생명체가 톨린을 섭취, 생명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한결 높아졌다.스토커의 실험
결과
는 지구 밖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구에는 자연 발생적인 톨린이 없지만 행성과학자들에 따르면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Titan)에는 톨린이 풍부하다고 한다. 타이탄의 표면을 가리는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어느 생물의 어느 부분의 것인가를 밝히기 위해 외국의 많은 문헌과 화석표본을 조사한
결과
이것이 바로 공룡의 알껍질 화석임을 알 수 있었다.이 사실을 1976년도 대한지질학회에서 발표했으나 많은 사람들은 반신반의하는 태도였다. 그도 그럴 것이 알화석이라면 그 외형이라도 나타나야 할텐데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정확한 최대광도는 알지 못하고 있다. 이 별은 최근에 일본 천문가들에 의한 컴퓨터 분석
결과
, 성서속의 '베들레헴의 별'에 가장 가까운 가능성이 있는 별로 흥미를 끌고 있다. 백조자리 X성도 5등급까지 밝아지는 변광성으로 흥미로운 별이다.이밖에도 쌍안경은 이중성 관측에도 이용된다. 백조자리 ... ...
과일 부패 막는 게껍질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유도체를 변화시켜 물에도 용해되지 않는 투명한 겔을 만들었다. 이 겔을 사과에 바른
결과
신선도가 유지된 기간은 무려 6개월. 예전의 인공산화 방지제는 고작 10주밖에 효능을 보이지 못했다.카롤란이 만든 겔은 과일 표면에 막을 형성한다. 이 막은,저장기간을 늘리는 이산화탄소는 침투하게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이미 대학 강의를 들을 정도였다고 한다.신동, 천재의 지표로 우리는 흔히 지능테스트의
결과
, 즉 IQ지수를 든다. '우리 아이의 IQ는' '나의 IQ는' 하고 일상적으로 쓰고 있는 이 단어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이 지수는 정말로 사람의 지능을 정확히 나타내는 것일까. 지능테스트는 바람직한 것인가. 이 ... ...
이전
1483
1484
1485
1486
1487
1488
1489
1490
1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