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뉴스
"
자연
"(으)로 총 4,815건 검색되었습니다.
라오스에서 코로나19와 유사한 친척 바이러스 3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9.26
9 바이러스와 유사한 인간 수용체 결합 부위가 확인됐다는 점에서 볼 때 코로나19도
자연
적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태국과 캄보디아, 중국 남부 윈난에서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 계열 바이러스와 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를 통해 동남아시아가 코로나바이러스 ... ...
'첫 외계 천체' 오무아무아는 외계 지성체가 만든 것일까
연합뉴스
l
2021.09.24
바 있다. 로브 교수와 달리 여러 천문학자는 오무아무아는 가공된 물체가 아니라
자연
적 산물이라는 논문들을 내놓고 있다. 저자는 "사실 몇몇 과학자들은 내 가설이 유행에 맞지 않고 주류 과학을 벗어났으며 심지어 위험할 정도로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우리가 저지를 수 ... ...
바람 타고, 초음파 타고…씨앗·박테리아서 영감 초소형 장치
연합뉴스
l
2021.09.23
안 되며 이런 것이
자연
의 방식"이라면서 "
자연
에서 이미 입증이 된 것이기 때문에
자연
에서 영감을 얻은 방식은 더 지속가능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했다. ... ...
전세계가 눈독 들이는 ‘소형모듈원자로’ 메카 문무대왕과학연구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1
승인받으면서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했다. 원자로 냉각재 펌프 없이 중력에 의한
자연
대류로 냉각재가 순환되며 별도 전원이나 냉각재 보충, 운전원 조치 없이 원자로가 안정화되도록 설계된 게 강점이다. 박원석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착공을 계기로 안전성과 세계 최고 ... ...
"고른 영양분 섭취·식량불안정 해결책은 수산식품"..."기후변화 대응에도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1.09.20
이산화탄소의 양이 오히려
자연
산에서 채취할 때 배출되는 양보다 적었다. 연구팀은 “
자연
산 수산식품은 이송을 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양이 많다”며 “양식은 그런 점에서 자유로워 오히려 배출량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푸딩 같기도, 태양계 같기도…원자모형의 진화
2021.09.18
원자의 존재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원자는 애초에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자연
의 최소단위로 도입되었다. 그래서 이름도 ‘아톰(atom)’이다.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최소단위라는 말은 다시 말해 원자가 하나의 점입자로서 그 안에 어떤 하부구조를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영국의 물리학자 ... ...
박쥐→사람 전파 매년 40만 건 이상 발생…다음' 신종 코로나' 발생 지역은?
동아사이언스
l
2021.09.16
약 4억7800만 명이 살고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19가 특정 실험실에서 유출된 것이 아니고
자연
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그 다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디에서 출현할 것인지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 대상인 박쥐 23종이 많이 사는 지역 중에서 인구 수가 많고, 사람과 박쥐간 접촉 빈도가 높은 ... ...
[과학게시판] 원자력연, 방사선 기술로 개발한 살모넬라 백신 씨티씨백에 이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15
독성을 줄인 약독화 생백신으로 사백신보다 2배 이상 감염예방 효과가 높다. 생백신은
자연
돌연변이로 개발해 시간과 인력이 많이 필요했지만 방사선으로 많은 돌연변이를 유도해 백신 개발 기간을 수년에서 2개월 이내로 단축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부터 다음달 13일까지 ‘202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
2021.09.14
우연한 선택이 특정 유전형을 선택하는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이 경우
자연
선택이라기보다 문화선택이라고 봐야 맞지 않을까. 고등 동물뿐 아니라 곤충도 문화생활을 한다는 게 밝혀졌다. 등이 빨간 수컷과 녹색인 수컷 가운데 후자와 짝짓기하는 장면을 지켜본 암컷은 나중에 ... ...
30년새 개화·매미 울음 들리는 시기 빨라지고 얼음·서리 구경 어려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4
관측 종목과 장소, 방법에 따라 매년 동일 지점에서 동일개체에 대해 관측하는 것이다.
자연
상태에 놓여 있는 매미와 제비 등 동물 9종과 매화와 개나리 등 식물 12종, 서리와 얼음 등 기상현상 5종을 관측한다. 이에 따르면 봄꽃 개화일이 이전 평년인 1981~2010년보다 신평년 1991~2020년에서 더 빨라진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