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40건 검색되었습니다.
5G 휴대전화·기지국 전자파, 인체보호기준 만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때 흡수율이 0.17%였다. 벌레퇴치기는 0.3%로 나타났다. 발을 올려놓으면 온몸을 떨게 하는
원리
의 음파진동운동기는 생식기 부위에서 기준 대비 최대 0.38% 흡수율을 보였다. 승강기 기계실은 가장 가까운 위치인 아파트 최상층에 살거나 건물 마지막 운행층 주변에 있을 때를 고려해 전자파를 측정한 ... ...
해상도 100배 높은 차세대 QLED 프린팅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미세하게 조절해 수 나노미터에서 수천 나노미터급 주형에 선택적으로 스스로 조립하는
원리
에 주목해 공정에 적용했다. 조립된 퀀텀닷 미세 패턴을 분리한 뒤 초저압 방식으로 프린팅하는 기술을 개발, 풀 컬러 나노미터급 패턴을 100% 수율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QLED용 퀀텀닷 ... ...
'빛으로 켜고 배아교정 영향도 찾았다' 진화하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단백질)가 특정 DNA 염기서열과 결합하도록 만든 뒤 원하는 돌연변이 염기를 잘라내는
원리
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상 염기를 잘라내는 ‘오프타깃(Off Target)’ 문제를 해결하고 정확도와 신속성을 향상하는 일은 수년간 연구자들 사이에서 숙제로 남아있었다. 인간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 ...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07.04
수상자들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
를 밝히다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인터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_ 피터 찰스 도허티 호주 멜버른대 ... ...
원자 하나하나에 정보 담는 신개념 메모리 '저장용량 1000배로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가하면 원자 위치가 바뀌는 강유전체 현상을 이용해 정보를 기록하고 읽는
원리
다. 전원을 꺼도 정보가 그대로 남아있고, 정보를 기록하고 제거하는 속도가 플래시메모리보다 1000배나 빠르다. 하지만 F램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원자를 움직이면 원자 사이의 힘 때문에 원자 수천 개가 동시에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독일의 과학엔 특별한 것이 있다
2020.07.02
창의성이 가장 중요한 연구성공의 원인이 되는 조직에선, 이제 하낙 원칙은 보편적인
원리
로 고려되고 있다 막스플랑크연구회의 성공요인으로 가장 중요하게 거론되는 하낙 원칙 외에도, 독일 정부가 정권의 이익에 상관 없이 연구회를 꾸준히 지원해 왔다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이와는 달리 ... ...
초저전력 전자소자 구현 길 열리나…‘스핀’ 난제 60년만에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있다. 자기장에 반응해 일렬로 정렬되는 현상으로 자석이 N극과 S극을 구분하며 정렬되는
원리
이기도 하다. 스핀파는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스핀들이 집단으로 움직여 만들어낸 파형을 의미한다. 스핀파는 주파수가 매우 높은 영역에 분포하고 전력 소비가 매우 적어 초고속 초저전력 소자에 적용할 ... ...
[프리미엄리포트] ‘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
2020.06.27
하거든요. 에너지가 질량으로, 질량이 에너지로 바뀔 수 있다는 ‘에너지-질량 등가
원리
’에 따라, 빛의 속도로 움직이던 양성자의 에너지 일부가 질량으로 바뀌며 새로운 입자가 됩니다. 이를 통해 양성자를 이루던 쿼크만이 아니라 이와는 다른 종류의 새로운 쿼크와 힉스 등을 발견해왔습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수많은 미시적인 분자를 도입하면 개별 입자의 움직임을 동역학적으로 기술하기란 (
원리
적으로 뉴턴역학을 적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불가능하다. 맥스웰과 볼츠만은 이들을 통계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정립함으로써 거시적인 열 현상을 미시적인 입자들의 통계역학으로 환원하는 데에 ... ...
벌집 모아 더 큰 벌집 만드니 전기 더 잘 흐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과정에서 산성 촉매를 써서 트리페닐렌 고분자가 부분적 양(+)전하를 띠게 만든 게 핵심
원리
”라며 “덕분에 전기적 반발력을 갖게 된 고분자들이 서로 쌓이지 않고 용액에 골고루 분산돼 기존보다 수천~수만 배 큰 수백 ㎛ 크기의 전도성 고분자 박막을 합성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백 연구위원은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