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동향
동정
운동
추이
노릇
행동
뉴스
"
움직임
"(으)로 총 2,510건 검색되었습니다.
'육퇴시간 당겨질까'…CES서 육아 도우미 로봇들 눈길
연합뉴스
l
2019.01.10
앱을 이용해 정교한
움직임
을 컨트롤할 수 있다. 달리기나 댄스처럼 다양한 로봇
움직임
들을 사용자가 직접 코딩할 수도 있다. 또 한화 드림플러스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은 스타트업 럭스로보도 CES 전시장에 모듈형 DIY 로봇 제작 플랫폼 '모디 사물인터넷 허브'를 선보였다. 마이크·동작 ... ...
버튼 누르는 손짓만 해도…페이스북 신경 건드린 구글 동작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2.4~5GHz인 와이파이보다 주파수가 높아 파장이 짧은 전파를 쓰며, 밀리미터 수준의 작은
움직임
을 인식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렇게 손동작을 이용한 입력 기기가 개발되고 있는 것은 편리함 때문이다. 황 선임연구원은 “제스처 입력을 위해 부가적인 기기를 ... ...
선장은 육지에…스스로 바다 누비는 ‘AI 선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흔들리기 때문에 카메라 같은 센서들이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이런
움직임
을 보정해 주는 기술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며 “이런 오류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가 상용화의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선박에서 50㎞가량 떨어진 핀란드 투르쿠의 원격제어스테이션(RCS)에서 팔코를 ... ...
[2019 과학 전망]기해년 덮친 돼지전염병,GM 모기 날아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1억 2000만 유로(약 1540억 원) 가 투입되는 거대 프로젝트다. 북극의 구름과 해양의
움직임
에 관해 연구하고, 가을과 겨울에 기존 빙하 위에 새롭게 형성되는 얼음인 ‘1년차 얼음’의 형성 과정을 연구한다. 남극에서는 영국과 미국, 한국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남극 동쪽 스웨이츠 빙하 연구를 ... ...
[2019 CES]"물 낭비 조심" 문자 보내는 똑똑한 밸브…주목되는 기후변화 혁신기술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오로지 태양열만 있으면 찜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순 제공 CTA도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움직임
에 동참했다. 매년 열리는 CES는 전시회와 전시 참가자들을이 많은 자원들을 사용한다. CES는 2014년부터 자원들을 재활용하고 있고 작년 행사에서는 2000t이 넘는 양의 자원을 재사용했다. 전시장에 ... ...
평균 기온 오르는데 한파 횟수는 그대로··· "이상한 겨울"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분석 때문이다. 기후학자들은 한파와 폭염, 홍수 등 극한기후를 보다 거시적인 대기권의
움직임
들과 연관지어 생각한다. 예를 들어 북극과 남극의 고층 바람의 이동 패턴이 변하는 현상을 극진동(AO)이라고 하는데, 극진동이 변하면 북극의 찬 기운이 위도가 낮은 한반도 부근까지 내려와 한파를 ... ...
몸 상태 읽고 곧바로 치료하는 '올인원 칩'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장치들은 딱딱한 소재의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바꿔줘야 했다. 이런 배터리들은 신체의
움직임
을 방해했다. 크기가 커서 신체 내부에 심기 어렵고 외부와 선으로 연결해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바꿔줄 필요도 없는 이식칩들이 나오면서 ... ...
술 마시면 오버하는 이유는 뇌를 자극하는 '이것'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알코올에 취하기까지 한다. 연구진은 알코올을 30% 섞은 배양액을 마신 파리의
움직임
을 추적했다. 30도의 술을 마신 파리는 마시지 않은 파리에 비해 같은 시간 동안 1.5배에서 2배 정도 더 긴 거리를 날아다녔다. 반면 PLD2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제거된 초파리는 알코올을 마셨을 때와 그렇지 않을 ... ...
인도네시아 쓰나미 "화산폭발 따른 대형 산사태가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8
빠르다. 하지만 주기는 수분에서 수십 분이며 파장은 수백㎞에 달해 바다에서 보면 그
움직임
이 크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진원 부근에서는 파고가 불과 수㎝에 불과하지만 해안가로 가까이 갈수록 수m까지 올라가는 것이 일반적인 특성이다. 이번 쓰나미는 해안과 너무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해 ... ...
‘1000조분의 1초’ 빛으로 ‘왼손잡이 분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초고속
움직임
을 펨토초 단위로 실시간 분석할 수 있는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의 펨토초 다차원 레이저 분광시스템을 연구원들이 사용하고 있다. 화학, 생물, 재료분야에서 다양한 물질의 극초단 반응 동역학 규명 연구에 활용하는 선도연구장비이다. -사진 제공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왼손과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