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절제
버릇 없음
뉴스
"
과도함
"(으)로 총 1,636건 검색되었습니다.
운동하며 물 ‘벌컥벌컥’ 건강에 악영향?
2015.07.13
운동 중 너무 많은 양의 물을 섭취하면 혈중 나트륨 농도가 낮아져 건강에 좋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Flickr 제공 운동 중 탈수의 위험성은 익히 알려져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통을 손에 들고 수시로 물을 마시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 과한 수분 섭취는 오히려 건강을 위협할 수 있 ... ...
인슐린 생산량 조절하는 물질 찾았다
2015.07.05
유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왼쪽)과 서윤석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박사과정생.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비만과 당뇨 등의 대사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인체 물질을 새로 밝혀냈다. 유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팀은 ‘miRNA-9a’라는 마이크로RNA가 몸의 ... ...
천식, 관절염 치료용 신규물질 AKD 기술이전
2015.07.02
이경 동국대 교수(왼쪽)와 안경섭 생명연 책임연구원 - 동국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동국대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개발한 천식·관절염 등 난치성 염증질환 치료용 신규물질 ‘AKD’가 아주약품으로 기술이전 됐다. AKD는 미래부 기초연계후보물질 발굴사업을 통해 동국대와 생명연이 개발한 ... ...
목표치 더 높아진 온실가스 감축… 업계 “정부에 뒤통수 맞아” 반발
동아일보
l
2015.07.01
[동아일보] 정부 ‘2030년 37% 감축’ 확정… 당초 14.7∼31.3%案보다 상향 산업부문 감축률은 12% 이내로 우리나라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배출전망치(BAU·Business As Usual) 대비 37%를 줄이는 것으로 결정됐다. 이는 당초 정부가 제시했던 감축안보다 상향 조정된 것이어서 산업계는 당혹스러워하 ... ...
[광화문에서/윤신영]은유로서의 질병
동아일보
l
2015.07.01
[동아일보] 사람은 추상화를 잘하는 만큼 구체화도 잘하는 존재다.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이나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대상일 때 특히 그렇다. 구체화는 주로 익숙한 물체나 사람을 이용해 대상을 환기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일종의 알레고리 혹은 은유다. 추상을 구체화한 대표적인 사례는 질병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상처는 아물지 않았다. 작년 4월 16일 물속으로 가라앉은 세월호가 물 밖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낸다. 해양수산부 세월호 선체처리 기술검토TF(아래 세월호 TF)는 세월호를 인양하기로 결정했다고 올해 4월 16일 발표했다. 6월 23일까지 인양에 참여할 업체들로부터 기술제안서를 받은 뒤 심사를 거쳐 7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각종 SF 영화와 문학 작품에는 인간보다 훨씬 똑똑해진 인공지능이 인간을 공격한다는 설정이 등장한다. 최근 여러 글로벌 기업이 앞다퉈 놀라운 성과를 내놓으면서 이런 상황이 현실에서도 곧 일어날지 모른다는 예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섣불리 막연한 두려움을 가질 필요 ... ...
식중독의 계절… 냉장고 너무 믿지 마!
동아일보
l
2015.06.29
[동아일보] 식중독 어떻게 예방 하나 여름철은 해수 온도가 높아져 장염비브리오 등 다양한 식중독 세균이 발생하기 쉬운 계절이다. 연안 해수에 존재하는 세균들은 주로 20∼37도의 높은 온도에서 빠르게 증식하는데, 여름철이 되면 해수 온도가 20도 이상으로 올라가 세균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 ... ...
“유전자 끼리 소통 과하면 우울증 걸리기 쉬워”
2015.06.28
국내 연구진이 우울증, 조울증, 조현병(정신분열증) 등 주요 정신질환의 발병 원인을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이도헌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유전자동의보감사업단장·사진)팀은 미국 스탠리의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정신질환자들에게 나타나는 과도한 면역 및 염증반응 과정을 처음으로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미국의 미생물학자 폴 드 크루이프는 대중을 위한 과학저술의 선구자다. 그가 1926년 발표한 책 ‘소설처럼 읽는 미생물 사냥꾼 이야기’는 18개 외국어로 번역됐다. 2005년 한글판도 나왔지만 아쉽게도 지금은 절판된 상태라 중고책을 구입할 수 있을 뿐이다. 책은 현미경을 발명해 미생물을 처음 본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