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려대학교
고대
고려대학
뉴스
"
고려대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10.07
현재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 오키프 교수에게 박사 논문을 심사 받은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오키프 교수의 발견으로 해마가 기억뿐 아니라 장소 정보를 처리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됐다”고 설명했다. 2014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마이브리트 모세르 교수(왼쪽)와 ... ...
우뭇가사리로 자동차 연료 만든다
2014.10.05
식용으로 널리 쓰이는 우뭇가사리로 바이오연료를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생명공학과 김경헌, 최인걸 교수팀은 우뭇가사리를 포함하는 홍조류의 주성분인 한천 무수당을 발효시키는 원리를 알아내고 환경미생물 분야 국제 학술지 ‘환경 미생물학’ 9월 30일자에 발표했다. ... ...
슈퍼박테리아 만드는 ‘카멜레온 유전자’ 찾았다
2014.09.23
쉽게 전환할 수 있게 해 다양한 항생제에 대항할 수 있게 한다. -
고려대
제공 김희남
고려대
의대 교수팀이 세균이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얻게 되는 과정을 밝혀내고 유전분야 학술지 ‘플로스 지네틱스’ 18일자에 발표했다. 베타락탐(β-lactam)계 항생제는 오늘날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항생제다. ... ...
세계 대학 순위 서울대 31위, KAIST 51위
2014.09.16
KAIST는 2010년 79위였으며 서울대는 50위 정도였다. 이 밖에 포스텍(86위), 연세대(106위),
고려대
(116위), 성균관대(140위)가 20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1위는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가 차지했다. 이어서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임페리얼 칼리지, 미국 하버드대, 영국 옥스퍼드대가 차례로 5위 안에 ... ...
반도체 두께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모식도. 상하 수직면에 단원자층의 그래핀을 전극으로 사용했다. -
고려대
제공 이철호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교수와 김필립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팀이 반도체의 접합면 두께를 줄여 고효율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p-n 접합’은 전기적 성질이 서로 다른 두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이용해 차세대 조명과 광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돌파구를 찾았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유리 투명전극 기술을 발광다이오드(LED)에 적용하는 데 성공하고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7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전극을 위아래로 배치한 대면적 수직형 ... ...
전자제품 세대교체 오나… 금속기판에 차세대 소자 심었다
2014.08.11
하면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돼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한창수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KAIST와 한국기계연구원과의 공동연구로 ‘접착테이프’와 유사한 원리로 그래핀을 기판 위에 옮겨 붙일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개발하고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 ...
2050년, 한반도에서 소나무 보기 힘들어진다
과학동아
l
2014.07.27
계속되면 한반도의 숲에서 소나무가 줄고 참나무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우균
고려대
환경생태공학과 교수팀은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주요 나무종의 분포를 예측한 결과 소나무와 밤나무 등은 생장이 저조해 줄고 신갈나무를 포함한 참나무류의 분포는 늘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 ...
이런 게 이산화탄소 먹는 ‘하마’
과학동아
l
2014.07.21
포집할 수 있는 흡착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새롭게 개발됐다. 홍창섭
고려대
화학과 교수팀은 기존 흡착제보다 이산화탄소 포집 효율은 뛰어나면서도 물과 산성에 강하고 소량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니켈기반 금속-유기 복합체’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탄소나 제올라이트로 ... ...
빛으로 암세포 죽이는 '광열치료' 성큼
과학동아
l
2014.07.10
‘광열(光熱)치료’의 상용화를 획기적으로 앞당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지원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는 9일 “광열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광열치료는 정상세포보다 열에 약한 암세포의 약점을 이용해 체외에서 근적외선 레이저를 쪼여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