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 망원경이 찍은 대폭풍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허블망원경이 실패작만은 아니었음을 증명하여 주었다.둘째 허블 망원경이 찍은 사진은
천문학
자들로 하여금 행성대기상의 폭풍을 조심스럽게 연구하고 또한 어떻게 발전 변모하는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것이다. 다른 흰점들과 짙은 줄도 나타났다. 상세한 폭풍의 변화상은 그동안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아마추어 천문은 취미활동인 동시에 학문이며 생활과학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아직 제대로된 통합단체 하나 없이 '별을 관측 하고자 하는 ... 전모임이 '스타 파티(star party)'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하루 속히 통합 단체로서 '아마추어
천문학
회'가 이 땅에 출현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 ...
개기일식 전과정 사진 공개 동식물이 숨죽이는 90초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지역에서 관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개기일식이 관측될 시기는 2035년 9월2일.한편
천문학
자들은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동안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맞는다. 개기일식 중에 태양과 같은 방향에서 오는 빛이 태양의 강력한 중력장 때문에 약간 휘는 것이 관측되기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내는 연성, 은하중심부의 활동영역 등-로부터 이제 검은 구멍은 다른 별이나 은하처럼
천문학
의 실재대상으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우리 태양계가 소속돼 있는 우리 은하(은하수)의 중심부에도 태양보다 1백만배나 무거운 거대한 검은 구멍이 있고 이 검은 구멍이 주변의 별들에 지대한 영향을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坤與全圖)란 제호가 붙여졌는데 양쪽 끝의 한폭에는 지리적 사항이, 다른 한폭에는
천문학
적 사항이 서술돼 있다.페르비스트의 세계지도가 언제 조선에 들어왔는지에 관한 확실한 기록은 없다. 마테오 리치 세계지도의 충격은 이 개정판 세계지도에서는 되풀이되지 않았던 것 같다. 이 지도보다 2년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물리학과
천문학
에서는 영어로 페이즈(phase)이며 수학에서는 토폴로지(topology)라 불린다.
천문학
에서 사용되는 위상은 행성이나 달이 햇빛을 받아서 빛나는데, 빛나는 면이 어느 정도 지구를 향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예를 들면 달이 보름달 반달 초승달과 같이 달 지구 태양의 위치에 따라 ... ...
이달에 만난 아마추어천문가 신혜성 발견 꿈꾸는 조상호씨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아마추어가 상당수이며, 전세계적으로 아마추어천문가들의 관측데이터가 없었다면
천문학
은 수십년 후퇴했을 것이라고 조씨는 설명한다.성격을 묻는 질문에 "좋게 얘기하면 집착력이 강하다고 할 수 있지만 제대로 말하자면 아집만 남은 고집쟁이"라고 대답한다. '날카로움을 예쁘게 순화시킨 ... ...
허블이 보내온 토성 사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허블 우주망원경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짙은 안개(지구 대기)를 벗어나 태양계의 모습을 살피고 있는 허블이, 아름다운 띠를 가진 토성의 모습을 ... 최근에 이 사진을 지구로 전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진 또한 행성의 대기를 연구하는
천문학
자들에게는 큰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같은 이치다.그러면 성운을 별이 형성될 수 있을만한 크기로 수축시키는 힘은 무엇일까.
천문학
자들은 그 해답을 초신성 폭발에서 찾고 있다. 초신성은 질량이 태양의 수십배되는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대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이때 나오는 에너지는 태양의 수억배에 이른다.만약 성운의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태양을 가장 가까운 데서 보필하는 수성은 대기도 없으며 낮과 밤의 기온차가 수백℃에 이른다. '죽음의 환경'이 지배하는 곳이다.대기가 없어 생물이 살 수 없는 행성, 표면이 온통 크레이터(crater, 구덩이)로 뒤덮여 얼핏 보기에 달과 잘 구별이 되지 않는 행성, 태양에서 거리가 가까워서 낮에는 납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