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묻거나 “로보트 재권V야, 무슨 소리 안 들려?”라고 말했을 때 우리가 알고 싶어 하는 정보를 로보트 재권V가 바로바로 알려줄 수 있을테니까요. AI 스피커처럼 음성 인식 소리를 듣는 것은 로봇이 인간과 같이 살아가기 위해서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왜냐하면 인간은 대부분 말을 사용해서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담긴 용기의 어느 위치에 질병 인자가 존재하는지, 또 얼마나 존재하는지 구체적인 정보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접착성을 띤 발색 신소재를 개발하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같은 유해 인자가 붙어있는 특정 공간만 색이 변하게 할 수 있다. 홍 교수는 “발색에 접착성까지 갖춘 유기 신소재의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꼴치탈출의 비법, 미션 수업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짝꿍이 돼 멘티 친구에게 이것저것 설명하니 제가 더 이해가 잘 되고, 멘티와 여러 정보도 공유할 수 있어 좋았다”며, “반대로 제가 모르는 게 있을 때 멘티가 알려주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문 교사는 2학기에도 멘토링 수업을 계속할 계획이다. 단 1학기 때에 같이 했던 멘토, 멘티는 다시 짝이 ... ...
- [SW진로체험] 블록체인 세상을 바꿀 평화로운 혁명! 김서준 해시드 대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모델 중 하나가 정보를 주면 토큰으로 보상하는 거예요. 데이터를 생산한 개인이 정보를 넘기고 싶은 업체를 선택해서 제공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받도록 하는 거죠. Q 앞으로 가상세계가 생산 활동의 무대라고요?10년만 지나도 지금 있는 대부분의 일자리가 없어질 거예요. 당장 몇 년 안에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영어인 안테나는 한국말로 ‘더듬이’를 뜻해요. 곤충들이 머리에 있는 더듬이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처럼 ‘전파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생긴 것도 더듬이와 비슷하지요.개인 주택이나 공공주택 건물 옥상에 빨래건조대 같은 모양의 막대기를 보신 적이 있을 거예요. 그건 ... ...
- 취미생활파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쓰며 움직입니다. 지금껏 받아들였던 정보를 정리하기 위해서인데요, 이때 필요한 정보만 걸러내고 합치는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더 잘 떠올리게 되는거지요.수튜브를 보고 있는 구독자 여러분도 문제를 풀다가 뭔가 풀리지 않고 꽉 막힌 기분이 들 땐 잠시 취미를 즐기는 건 어떨까요 ... ...
- [영국유학일기] 이력서 검토에 진로 상담까지 최고의 진로지원센터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과정인 ‘BSc Chemistry with Management’인데, 연구 직종을 희망하는 것이 아니라면 다른 과정보다 취업 시 유리한 면이 있다. 해당 과정 졸업생의 얘기를 들어보면 취업 면접과 실제 회사 생활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또 ‘MSci Chemistry with a Year in Industry’ 프로그램의 경우 유학생에 ...
- [이투스 입시정보] 식품영양학과&식품공학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식품영양학과&식품공학과 건강한 삶을 배우다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평균 수명이 높아지면서건강에 대한 식생활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식품영양학과 식품공학은 모두 건강한 삶을 위해 ‘식품’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분명한 차이점도 있습니다.지금부터 두 학과에서 무엇을 배우고, ... ...
- [통합과학 교과서]사오정과 콘서트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무선 이어폰이 언급되었던 건 무선 이어폰 역시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스마트폰과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이 마이크로파는 이미 널리 사용하고 있는 다른 전파와 크게 다르지 않지요. 서강대학교 이덕환 교수는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통신용 마이크로파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 ...
- [매스미디어] 악플의 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경찰이 일일이 모든 댓글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탐지하는 기술이 필요하죠. 숫자나 특정 단어를 찾아내는 것은 쉽지만 컴퓨터는 단어의 뉘앙스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악플을 탐지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입니다. 게다가 인터넷에 쓰는 댓글은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