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들어가 보니, 연구자들이 한창 쥐의 심장박동을 재고 있었다. 쥐 한 마리가 조그만 실험장치 위에 올려져 있었다. 그 앞에 앉은 연구자는 엄지손가락만한 면봉을 들고 조심스럽게 쥐를 통제했다. 옆에 놓인 컴퓨터 화면에는 쥐의 심장박동이 실시간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쥐가 앉아있는 회색 판이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것을 보여 주려 한 것이기 때문에,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직접 장치를 만들고 법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어려운 문제들을 충분히 느껴야 다른 사람들과 이에 대해 공유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요.그래서 인터넷으로 실제 인공위성을 만들어 발사한 사례를 검색하고,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어떤 원리인가요?A 연료전지는 수소나 알코올을 산화시켜 거기에서 전기를 뽑아내는 장치입니다. 핵심기술은 촉매입니다. 수소를 산화시키고 공기를 환원시켜야 하는데, 이것을 도와주는 물질이 필요합니다. 그게 촉매예요. 그런데 촉매 개발이 연료전지 분야의 난제입니다. 백금이라는 금속을 ...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충전이 되는지 실험했다.그 결과, 새 심장박동기는 피부에 붙인 신용카드만한 전원공급장치만으로 잘 작동했다. 배터리를 뺀 심장박동기는 겨우 쌀알 크기로 줄어들었다. 연구팀의 존 호 연구원은 “심장이나 뇌처럼 민감한 조직에 위협되지 않을 정도로 작고 안전한 기기를 만들 수 있을 ... ...
- 피아노 VS 파이프오르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음량이 작은 고음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피아노는 건반에서 손을 떼면 진동차단장치가 현으로 내려와 모든 소리가 멈춘답니다. + 현을 튕기는 건반악기도 있다?작은 피아노처럼 생긴 하프시코드(쳄발로)는 건반을 누르면 건반 끝에 달려 있는 가죽인 플렉트럼이 현을 튕기면서 소리를 ... ...
- 바다에 살던 연어가 고향 강 찾아오는 비결은 ‘GPS’?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어떻게 제대로 찾아왔니?사람들은 잘 알지 못하는 곳을 자동차로 찾아갈 때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하지요.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나단 푸트먼 박사가 연구한 결과, 저희 연어들도 몸속에 GPS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자기장 지도’를 갖고 태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저희들이 먼 거리를 ... ...
- 김주황의 악당예찬5 - 중력을 키우기 위해 지구를 꾹꾹 다지다 조드장군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지구는 크립톤보다 중력 이 약하다. 이 때문에 조드는 뉴욕과 인도양 남쪽에 중 력 변환 장치를 설치해 지구의 중력을 바꾸려 한다.대한민국 첫 우주인 이소연 씨가 국제우주정거장에 서 얼굴이 퉁퉁 부은 채로 생활했던 것을 기억하는지. 평소 지구 중력에 익숙해 다리 쪽으로 몰리던 혈액이 상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모래부터 유기물, 미생물, 중금속까지 모두 거를 수 있는, 최첨단 기술로 가득 차 있는 장치다. 크기도 학생 배낭 정도로 작다.흔히 적정기술은 첨단기술을 이용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박 소장은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구하기 위해 훨씬 더 많은 비용을 ... ...
- 에너지드림센터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때문에 햇빛이 건물 안쪽으로 깊숙하게 들어올 수 있답니다. 에너지 낭비를 막는 장치는 블라인드 말고도 유리창, 단열재, 중정, 반사벽 등 다양해요.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100%라고 하면 사용량의 70%는 줄이고 30%는 직접 만들어 쓰고 있답니다. 비밀3 친환경에너지 체험 공간어? 여기 있는 ... ...
- [시사] 물방울이 만드는 찰나의 예술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발전시켜서, 지금은 밸브로 물방울을 조절하는 촬영 장치를 만들어 쓰고 있답니다.이 장치로 원하는 이미지에 따라 물방울의 점성과 떨어트리는 각도를 조절하고, 빛의 밝기와 카메라의 초점 등을 수없이 조정하면서 사진을 찍습니다.저는 비록 수학을 잘 모르지만, 액체 조각 사진에 수학이 녹아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