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아
유익
아전
서리
이두
이토
이를지부
d라이브러리
"
이
"(으)로 총 29,006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양자전송
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편집자주. 본 기사에는 픽션과 논픽션
이
섞여 구성돼있습니다. ‘래빗홀 컴퍼니’는 허구의 단체
이
며 기사 본문내용중 픽션인 부분은 기울여 적었습니다.래빗홀 컴퍼니의 양 ... 컴퍼니도 모르겠네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고객 여러분께 넘기겠습니다. 믿고 순간
이
동을 해보시겠어요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완전반자성의 특성을 갖습니다. 오늘날의 초전도체는 대부분 극저온에서
이
런 특성을 보
이
는데요. 영화 속 언옵타늄은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입니다. 그야말로 꿈의 소재입니다. 개발된다면 에너지, 전자 등 여러 산업 분야의 혁명을 가져올 수 있기에 실제로 국내외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 ...
[기획] 0차원의 세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
이
게 점인가요?” 물리학자와 공학자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우리가 살던 세계에서 2차원은 면, 1차원은 선, 그리고 0차원은 점입니다. 점을 찍고 그 점과 점을 연결해 선을 만들 ... 보려면?Introl. 0차원의 세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Part1. 결함에 0차원
이
있다Part2. 나노세계에 0차원
이
있다 ... ...
[기획] 결함에 0차원
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소자의 저항 크기를 통해 0과 1을 구분해 두 개의 상태만 있죠. 그런데
이
번 연구처럼 각각
이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면, 하나의 소자에 정보값을 3개 저장할 수 있게 됩니다. 0과 1 그리고 2까지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원리로 작동하는 반도체 메모리를 만들 수 있는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지구상에는 수많은 종의 생명체가 존재합니다. 육지는 물론
이
고 에베레스트산 높
이
보다 더 깊고 어두운 바닷속에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생명체가 각자 다양한 ... 고등 생명체 합성 가능성을 높
이
고 있으며, 생명 탄생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이
해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 ...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내가 7살
이
던 1987년엔 대통령 선거가 있었다. 어른들은 당시 내가 알아들을 수 없는 얘기들을 많
이
나눴다. “○○○가 대통령
이
되면 우리 동네에 도로도 깔아주고, 버스 ... 공간 분석과 교통경제학자의 합리적인 비용편익 계산
이
모두 녹아있음을 독자 여러분들
이
기억해주면 좋겠다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말
이
사실
이
라면 핍은 자기가 산 토지 증서와 맞바꿀 용의도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의심
이
갔다. 정부가 굳
이
그럴
이
유가 없었다.
이
미 새로 만들어진 우주 공간마저 정부의 재정 유지를 위해 모두 민간에 분양
이
이
루어진 상태였다. 보통 국제우주금융인연합과 같은 ...
[특집] 초거대 도시 어떻게
이
동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김진구 교수는 “경제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네옴시티 실현
이
기술적으로 큰 어려움
이
있을 것 같지 않다”라며, “네옴시티의 성공 여부보다 미래 스마트 시티의 청사진을 보여준 것”에 더 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 ...
[가상 인터뷰] 세로토닌 억제 물질로 모기 개체 수 조절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상황
이
야. 연구에 참여한 매튜 수 박사는 “모기의 특정한 세로토닌 수용체를 찾는 것
이
목표”라며, “수용체를 찾는다면 다른 생물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고 모기의 세로토닌만 조절해 모기 개체 수를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어 ... ...
[특집] 수학계가 시끌!
이
탕 장
이
리만 가설을 풀었다고?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수학계가 들썩
이
고 있다. 2022년 11월 중국계 미국인 수학자인
이
탕 장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교수의 논문 때문
이
다. 논문 사전 등록 사
이
트인 ‘아카
이
브’에 올라 ... Part1. [특집] 수학계가 주목한
이
유는?Part2. [특집] 편견을 넘는 수학자Part3.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