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된다.그래프 이론이란 특정 집단 내의 대상들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으로, 18세기 오일러가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를 다룬 것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1852년 런던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학생인 프랜시스 구드리가 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많은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타원곡선의 밀도는 0보다 크다’는 것이다.바르가바는 이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서 19세기 말에 민코프스키가 개발했던 ‘수의 기하학’ 이론을 현대적인 방법으로 개선했다. 수의 기하학이란, 정수의 순서쌍 같은 이산 수체계가 다차원 공간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상세히 공부하는 이론이다. 그런데 ...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재능만줄 바르가바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40)는 장난감 ‘루빅큐브’에서 영감을 받아 18세기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의 연산법칙 연구를 확장한 공로로 수상의 영광을 누렸다. 인도계인 그는 인도의 전통 타악기인 ‘타블라’를 수준급으로 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릴 적부터 타블라의 세계적 ... ...
- 에볼라 쇼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세계보건기구(WHO)가 8월 8일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976년 처음 에볼라가 발견된 이래 이토록 많은 사람이 감염된 사례는 처음이다.WHO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건 2009년 신종플루 사태와 지난 5월 소아마비의 재발 이후 세 번째다.그동안 풍토병(Endemic)에 그 ...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영상과 놀랍도록 닮았다. 이 때는 최초의 인공위성이 우주로 올라간 때(1957년)보다 한 세기 이상 앞선 시대였다. ▲ 목숨 걸고 만든 첫 해류지도오늘 교과서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배우는 해류지도는,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직접 바다를 관측한 덕분에 얻을 수 있었다. 360년 전인 1675년에 하펠이 ...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짧지만 놀라운 역사를 살펴보자. 인류에게 우주에 대한 열망은 본능과도 같았다. 2세기경, 고대 로마시대의 대표적 단편작가 루키아노스는 최초의 공상여행기인 ‘진실한 이야기(The True History)’에 달나라로 간 우주여행객을 등장시켰다. 이런 열망은 아서 클라크의 ‘2001:스페이스 오디세이’, ...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플라스마는 원자가 깨어져 전자와 원자핵으로 분리돼 있는 상태다. 이 때 강력한 세기를 가진 레이저 펄스를 플라스마에 보내주면 가벼운 전자는 밀려나고, 무거운 원자핵은 제자리에 머물러 전자의 밀도가 주기적으로 달라지는 플라스마 파동이 만들어진다. 전자는 (-) 전하를, 원자핵은 (+) 전하를 ...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충실히 들어야 한다. 기초과학을 폭넓게 배우기 위한 방법이다.리버럴 아츠 교육은 12세기 서양에서 최초로 대학이 만들어지면서 시작됐다. ‘기초학문’이라는 말과 비슷한데 글쓰기, 문학, 철학, 자연과학을 비롯해 경제학, 역사학, 인류학 등 다양한 기초학문을 포함한다. 당시 대학 설립자들은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 점프문(jump), 조건문(if)과 같은 코드가 실행되는 순서를 정리하는 명령어를 말한다. 19세기에 살았던 에이다가 정리한 이 개념은 1970년대에 ‘에이다’라는 이름의 정식 프로그래밍 언어가 됐다.앨런 튜링(1912~1954)수학 원리로 튜링기계를 선보이다!1936년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학자인 앨런 튜링은 ...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수학동아 l2014년 09호
- △ABC ≡ △DEF라고 쓴다.기호 ≡는 어떻게 합동을 나타내는 기호로 쓰이게 된 걸까? 사실 19세기까지만 해도 합동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보다 ≅를 더 많이 사용했다. 기호 ≅는 1824년 독일의 수학자 칼 몰바이데(1774~1825)가 처음 사용했다. 그런데 칼 몰바이데 역시 이 기호를 독창적으로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