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살"(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산의 상징은 기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24년에 걸친 알콩달콩한 금실도 다산의 이유였지요. 26년간 동거동락한 전문 사육사의 보살핌도 큰 도움이 됐다고 해요. 새끼 18마리를 모두 받은 김종갑 사육사는 “장순이처럼 건강한 기린을 만난 것은 큰 복이자 행운”이라고 밝혔답니다.장순이가 이번에 낳은 새끼 기린의 이름은 ... ...
- 3억 5000살 먹은 전갈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화석에 ‘곤드와나 전갈’이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 곤드와나 전갈은 곤드와나 대륙에 살았던 가장 오래된 육상생물 화석이기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고 있어요. 바다 생물이 육지에 발을 디딘 것은 약 4억 2000만 년 전인 고생대 실루리아기예요. 식물이 먼저 육상에 적응한 뒤 식물을 먹는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없다. 가느다랗게 퇴화했다.퇴화한 발 다리와 함께 퇴화했다. 발가락 개수도 줄었다.120살까지 길어진 수명 인공 장기가 개발돼 과거 불치병이라 불렸던 질환들이 치료가 가능해졌다. 하지만 지나친 위생관리로 면역력이 떨어졌다.커다란 두뇌 지능이 더욱 발달해 상상 속 외계인처럼 두개골도 ...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튕겼어.“맞아! 당시 초등학생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는 괴담이 있었어. 끔찍한 살인사건이 났는데, 관련된 단서들이 돈에 숨겨져 있었다는 이야기야. 10원에는 피해자의 성이, 100원에는 머리가, 500원에는 팔이….”“정말? 그거 진짜야?”“응. 지금 한 번 찾아보렴~.”놀라서 들고 있던 동전 지갑을 ... ...
- 빨간 박테리아 줄까, 파란 박테리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생물 가운데 하나예요. 바다 속에서 부지런히 산소를 만들어 다른 생물이 나타나고 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답니다. 우리가 열심히 산 흔적은 양파처럼 층이 겹겹이 쌓인 돌인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보면 알 수 있지요. 오스트레일리아 샤크만 같은 곳에서는 지금도 만들어지고 있는 ... ...
- 류현진 강속구 비결은 인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빠르게 던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인간에 가장 가까운 침팬지가 물체를 던지는 속도는 12살 어린이가 공을 던지는 속도의 3분의 1밖에 안 돼요. 하지만 인간은 시속 150㎞에 달하는 강속구도 던질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지요. 미국으로 건너간 류현진 선수처럼요.미국 하버드대학교 닐 로치 박사가 ...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공기 우산이야. 우산 아래로 들어간 공기가 윗부분으로 나와서 비를 막아 준단다. 우산 살이 없어서 우산이 뒤집어지거나 망가질 염려도 없겠지? 길이를 짧게 조절하면 가지고 다니기도 무척 간편할 것 같아. 아직은 상상 속의 우산일 뿐이지만 빨리 들고 다니고 싶당! 음매애~!또롱또롱~, 빗방울로 ...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개인에게 딱 맞는 보청기와 보조치아를 만드는 데 널리 쓰이고 있어요. 일본에서는 살아있는 세포를 3D프린터로 쌓는 데 성공했고, 독일에서는 3D프린터로 인공혈관을 만들었어요. 3D프린터로 간이나 심장 같은 장기를 찍어내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답니다.범죄에 악용하면 절대 안 돼!3D프린터가 좋은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만든 설계도를 누구나 볼 수 있게 공개하는 방식이에요. 따라서 누구나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장단점을 파악한 뒤 단점을 보완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창시자가 누구든, 아무도 모르는 방법으로 비트코인 시스템을 파괴할 수는 없어요.테드 넬슨(정보기술 및 사회학자)이처럼 수학으로 만든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우주의 비밀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우리에게 제시할 것이다. 우주의 한 구석에서 평생을 살 수밖에 없는 우리에게 우주는 어떤 경이로운 모습을 보여줄까. ESA, NASA,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맥아더재단, 호주국립대, SDSS-III Colaboration, 동아사이언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지배하는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