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전"(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보유하고 있는 설비는 특별합니다. 초공동현상을 시험할 수 있는 특수한 수조 터널, 풍력 발전 효율을 테스트할 수 있는 윈드 터널 등이 있고, 실제 강의 지류를 끌어다 만든 ‘아웃도어 스트림(outdoor stream)’도 인상적입니다. 아웃도어 스트림은 강의 침식과 퇴적 등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소 내에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젠 지구를 넘어 우주로 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류는 그저 생존하기 위한 발전에서 벗어나 우리를 이루는 모든 것에 궁금증을 갖게 됐다. 과거에는 신학의 힘을 빌려 형이상학적인 답을 내놓았으나, 16세기 과학혁명 이후에는 과학적 사고를 토대로 더욱 근본적인 답을 찾아가고 있다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손실된 질량만큼 에너지가 생성되고, 터빈을 돌려 전기에너지를 얻는다. 원자력 발전은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핵분열 반응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즉, 연쇄반응을 제어하는 것이 원자로 안전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이다. 심형진 서울대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섀넌의 정보이론을 토대로 메시지에 들어있는 오류를 발견하기 위한 여러 이론이 발전했습니다. 신호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수학적 코드전달받은 메시지가 처음 모습 그대로인지, 전달과정에서 바뀌었는지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보내려는 데이터에 1이 짝수 개 있다면 데이터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취지였지만, 일반적인 석조 문화재 수리 방법론과 기술적 방향을 제시해 보자는 취지로 발전했다”고 밝혔다. 미륵사지 석탑의 기준은 ‘남조척’건축물을 지을 때는 기준이 되는 수치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이를 ‘척’이라고 했다. 한 척을 30cm라 하고 건물 한편의 길이를 10척으로 설계하면,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물을 넣어서 이미 생긴 균열을 넓히는 방식을 쓴다. 이진한 교수는 “포항 지열발전소에서 평소 물을 얼마나 많이 주입하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며 “다만 올해 3~4월 지하에 뚫은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주입했고, 당시 규모 3.0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우려하고 있다”고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조합인 제니퍼 애니스톤 ‘패턴’의 일부였던 셈이다. 얼굴 인식 기능도 학습으로 발전지금도 뇌 과학자들은 얼굴 인식 과정을 밝혀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9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에는 얼굴 인식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발표됐다. 여기서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를 보완한 한국인 몽타주 시스템이 개발됐다. 하지만 3차원(3D) 영상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도 몽타주 기술은 목격자의 기억에 의존해 2차원으로 구현하는 기법에 머물러 있었다. 전체 인상부터 선택, 이후 눈코입 그려목격자가 진술하는 대로 그린 몽타주는 주관적이다. 범인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장치로 한 번에 무려 8시간이나 촬영할 수 있다고 자랑했어. 최근에 인간들 기술이 많이 발전하긴 했나봐. 그런데 고작 8시간으로 우리의 생활을 엿보겠다고? 어쨌든 최선을 다해야지 뭐. 감독이나 각본도 없고 그냥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담기만 하면 되니까 부담은 없었어. 우리는 바다 속에서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궁극적으로는 동료평가 방식 등 완전한 질적 평가에 가까운 형태로 평가 방식이 발전하겠지만 그때까지 연구자들에게는 질적 성과지표가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Part 2. 10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