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특수하게 만든 망원경으로서, 망원경의 입구에 있는 렌즈의 지름이 1.2m이고 뒤에 있는 주
반사
거울의 지름은 1.8m이다.1950년부 터 7년간 이 망원경을 사용해 북반구하는 전체의 사진을 찍었는데, 이 사진 자료는 아직도 우주 연구에 가장 중요한 자료 중의 하나이다.필자는 윌슨산 천문대의 후신인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상공으로 이동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열대지방에서는 구름에 모래나 얕은 호수가
반사
돼 독특한 색깔으르 띠는 일이 흔하다.한편 나무나 식물이 떠내려오면 주변에 육지가 있다는 신호다.그런데 만일 사람이 사용한 쓰레기가 발견된다면 어떨까.사람이 사는 동네가 가까워진 것일까.반드시 ... ...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물체의 명암을 구별하며 원뿔모양의 원추세포가 사물의 색을 인식한다.사물에서
반사
된 빛이 들어오면 파장의 차이에 따라 해당되는 원추세포가 자극된다. 원추세포에는 파장이 긴 적색을 인식하는 로우(ρ)세포, 녹색이나 황색과 같은 중파장의 빛을 인식하는 감마(γ)세포, 그리고 짧은 파장의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바로 옆에서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소리가 잘 들린다.포물면은 초점에서 나온 파동을
반사
시켜 멀리까지 보낼 수 있고 한 점에 집중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원심분리기큰 원통형 그릇에 밀도와 색깔이 다른 두가지 액체가 들어있다.누구나 알다시피 밀도가 큰 액체가 가라앉아 있고 밀도가 작은 ... ...
아마존 정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안 된다. 나무가 많아서 지표에서
반사
되는 자외선의 양은 적기 때문이다. 빛을 많이
반사
하는 곳에서 더 잘 탄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다행스럽겠지만 워낙 자외선의 양이 중위도 보다 많으므로 안심할 일은 아니다. 따라서 아마존과 같은 열대지역을 다닐 때는 태양빛이 직접 내리쬐는 곳을 피하는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특히 중요한 주거울의 코팅작업을 주도한다. 거울에 단 하나의 흠집도 없이 완전한
반사
면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전문기술자가 필요하지만 그는 이 일에 이미 전문가가 돼 있다.주거울을 떼 내고 붙이는 일과 이를 코팅실로 옮기는 일 또한 만만치 않다. 주거울은 무게만 1.5t이 넘고 거울을 감싸고 ... ...
세계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미사일 18개를 동시에 공중 유도할 수 있으며, 미사일이 목표물에 접근하면 목표물에서
반사
된 전파를 잡아 미사일에 정보를 줌으로써 거의 100%의 명중률을 자랑한다. 또한 이지스함은 적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추었다. 이처럼 위력적인 이지스함은 현재 1대당 가격이 ... ...
양자세계의 토끼 사냥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파동과 굴절되는 파동이 생긴다.이 중 굴절되는 파동은 다시 유리-공기의 경계면에서
반사
되는 파동과 굴절되는 파동으로 갈라진다.유리 너머에서 빛을 보면 이렇게 두 개의 경계면을 통과한 빛을 보게 된다.파동의 성질을 가진 전자를 가지고 굴절률이 다른 매질을 통과하는 실험을 해보자.전자의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앉아 조는 시간이 많아졌다. 그런데 참으로 이해 못할 일은 무엇인가 눈만 띄면 거의
반사
적으로 손이 생식기로 가는 것이었다. 손님이 “이놈!” 해도 그렇고, 사육사의 열쇠고리 소리만 나도 그랬다. 그러다 바우는 얼마 더 살지 못했다.일본의 동물원장회의에 참석했을 때 이 얘기를 했더니 의외로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지구와 가장 가까워서이기도 하지만,표면을 덮은 대기의 상층이 태양 빛을 아주 잘
반사
하기 때문이다.금성이 새벽 동쪽하늘에 보일 때는 샛별,저녁 서쪽하늘에 보일 때는 태백성이라고 한다.하지만 자정이 가까운 한밤에는 결코 금성을 볼 수 없다.그 이유는 무얼까.우리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