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몸"(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뇌와 척수는 감각기관에서 전해진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한 뒤, 명령까지 내리는 우리 몸의 중추신경계입니다. 구조도 상당히 복잡하죠. 그런데 시간을 거꾸로 돌려보면 뇌와 척수는 아주 단순한, 하나의 관(tube)에서부터 발달합니다. 수정된 지 약 한 달이 지난 배아는 블루베리만 한 크기인데요.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의료계에서는 남북의 의료 격차가 통일 이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해요. 우리 몸이 서로 다른 종류의 침입자를 겪으며 살고 있기 때문에 면역 체계에도 차이가 있을 거라는 말이지요. 따라서 1953년 휴전으로 분단된 이후 65년간 교류가 없던 남북 사람들이 갑자기 교류를 시작하면, 바이러스성 ... ...
- 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하지만 침대는 달라요. 침대에 누워 코를 대고 자기 때문에 라돈-220이 사라지기 전에 몸에 들어올 수 있지요. 진영우 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장은 “어린이에게 라돈은 더 위험하다”고 말했어요. 어린이가 성장할 때 세포가 분열하는데, 이때 방사선을 받으면 세포 속 유전자가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높은 선반에 앉는다”고 귀띔했다. 바닥 일부에는 철망을 깔아 똥이나 오줌 같은 오물이 몸에 직접 닿지 않도록 설계했다. 사육실 바닥에는 온돌 시설이, 천장에는 히터 시설이 갖춰져 있어 내부는 후끈했다. 동남아시아가 원래 서식지인 원숭이들에게 적합한 온도와 습도 환경으로 맞춘 것이다.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인식하게 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2016년 미국 피츠버그대 메디컬센터 연구팀은 온 몸이 마비된 남성 환자의 뇌 감각 피질에 마이크로전극을 이식한 뒤, 이를 로봇 팔과 연결해 로봇 팔의 손가락을 만졌을 때 그 감각을 느끼게 하는 데 성공했다. doi: 10.1126/scitranslmed.aaf8083 황 교수는 “예를 들면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12] 버는 만큼 써라! FFP 규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성과에 도취한 경영진은 구단 수입을 훨씬 뛰어넘는 대출을 바탕으로 몸값이 높은 선수를 무리하게 영입하는 등 재정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습니다. 계속 팀이 좋은 성적을 유지할 거라는 기대를 바탕으로 과감하게 투자했지만, 이듬해 리버풀 FC에 밀려 챔피언스리그 진출에 실패해 중계권 수입이 ... ...
- [과학뉴스] 보르네오섬에서 자폭 개미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상대방을 꽉 붙잡고 자신의 몸을 터뜨려요. 그러면 배에서 끈적이는 독이 나와 상대방의 몸에 묻지요. 연구진은 이 개미에게 폭발한다는 뜻의 ‘콜로봅시스 익스플로덴스(Colobopsis explodens)’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 ...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끝 로스앤젤레스에서 밤비행기를 타고 5시간을 날아왔다. 비행기에서 쪽잠을 잔 뒤라 몸은 천근만근이었지만 기분만은 설륽다. 여기서 1시간 쯤 동쪽으로 달리면 케네디 스페이스 센터(KSC·John F.Kennedy Space Center)다. 근 1년을 별렀던 방문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운용하는 10개 센터 중에서도 KSC는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그간 대부분의 좀비 영화나 드라마에서 좀비의 감염 매개체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 우리 몸에서 번식할 수 있는 생명체인 경우가 많았다. 야귀의 특성만 놓고 보면 야귀를 매개하는 병원체는 상처를 통해 감염되며 단시간 내에 사람을 죽일 수 있을 만큼 잠복기가 매우 짧아야 한다. 또 감염됐을 때 ... ...
- [가상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정신에도 영향을 미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거야. 연구진은 대신 인간의 기분이 장내미생물에 영향을 받는 이유는 장내미생물의 몸에서 만들어지는 대사활동의 부산물 때문이라고 주장했어. 장내미생물이 만드는 물질 중 일부가 우연히 뇌에 영향을 미쳐 인간의 기분을 바꾸었고, 이런 물질을 만드는 미생물이 자연 선택되어 더 잘 생존할 수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