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난"(으)로 총 2,83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1. 1초의 위대함, 오차 0에 도전!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알려주지. 그건 바로 나, 세슘원자시계만 측정할 수 있거든.아무래도 세슘이가 잘난 척하는 꼴은 못 보겠다. 세슘이가 어떤 녀석인지 내가 설명해 줄게. 세슘이가 나보다 정확한 시계라고 인정받는 이유는 시간에 대한 오차가 적기 때문이야.세슘-133 원자는 *동위원소가 없고 원자구조가 간단해 ... ...
- Intro. 클락, 이러다 클나!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시각을 알려주기 위해 고생한 시간들을 보상받고 말테야. 네가 못 가게 할 줄 알고, 난 벌써 원자시계 몸뚱이는 지구에 두고 왔지. 지금 다들 매주 보장된 하루 휴가를 누리기 위해 지구를 떠나려 하고 있다고.시각과 시간의 차이시각 시간의 어느 한 시점을 말하며 우리가 평소에 ‘몇 시 ... ...
- Part 2-2. 지금의 시계가 있기까지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나도 왕년에는 최고 스타였다고. 아주 사람들이 난리를 떨었지. 특히 우리 주인님의 뛰어난 수학실력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아…, 혹시 네덜란드의 수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아니예요? 일생 동안 수학과 물리학 분야에 업적을 많이 남기신 분이잖아요. 가장 잘 알려진 업적이 진자시계 ... ...
- Part 1. 수학천재 H군, 올림피아드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어려워져 방황하는 시간도 있었지만 그리 길지는 않았다.서울과학고에 진학해서 만난 수학의 하늘은 더없이 넓었다. 그 속에서 H군은 날개를 활짝 펴고 맘껏 날았다. 고등학교 3년 동안 매년 IMO에 우리나라 대표로 출전했다. 2, 3학년 때는 2년 연속 최고상인 금상을 받았다. 사교육 한 번 받아본 적 ... ...
- 뜨거운 대지에서 순박한 아픔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못한다. 몇몇은 공원을 탈출해 민가로 침입했다. 온순한 코끼리도 생존의 위협을 받아 난폭해졌다.밤새 옥수수 밭을 싹쓸이 하거나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 그래서 근처에 살고 있는 마사이 족들은 소를 공격하는 사자를 독살하고, 농부들은 밤마다 교대로 밭을 감시한다. 손전등을 비추거나 ...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유산까지 물려받아 인간의 진정한 후손이 될지도 모른다는 제안까지 내놨다.20년이 지난 현재 그런 기술은 개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작년 5월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의 연구팀은 세균의 게놈을 합성한 뒤 다른 세균의 몸통만 빌려 합성생물체를 처음 만들었다. 과거에 없던 인공생명을 만들어 낸 ...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무엇보다 녀석들을 위협하는 가장 위험한 적은 사람이다. 포획이나 로드킬부터 장난과 화풀이까지, 길고양이는 늘 생명을 위협하는 환경 속에서 살아간다. 길고양이는 생후 3개월 이후에도 살아 있을 확률이 30%에도 못 미친다. 고양이가 사람을 보고 도망치는 이유는 아주 단순하다. 사람이 무섭고 ... ...
- 먹이사슬 받치는 '천연 소시지'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복부 끝에 달린 긴 산란관으로 애벌레의 피부를 찢고 살 속에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들을 굶기지 않기 위해서다. 산호랑나비의 애벌레 가운데 맵시벌의 알을 품고 사는 녀석들은 84%나 된다. 애벌레는 천적과 그들의 새끼들까지 먹여 살리는 셈이다. 생태계 이해하려면 애벌레 잘 ...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4호
- 기술에 감탄을 하고 있는데 어디선가 이런 소리가 들렸어.“눈이다~!”정신을 차려 보니 난 어느 샌가 2010년 12월 25일 아침으로 돌아와 있었어. ‘눈이다’라고 외친 건 동생이었지. 내 머리맡에는 그동안 내가 꼭 갖고 싶었던 선물이 놓여 있었어. 미래의 산타 할아버지가 주신 건지, 현재의 산타 ... ...
- 라디오 방송으로 앙가봉데 업숑을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4호
- 잘 생각해서 찾아보도록 하자.대서양을 건넌 문자를 맞혀라!“그 정도는 맞힐 줄 알았어! 난 그럼 바빠서 이만~!”악당 업새블라가 또 다시 사라졌다. 알고 보니 목적지는 1901년 12월 영국. 그 곳에서는 이탈리아의 발명가 굴리엘모 마르코니가 대서양 횡단 무선 통신 실험을 하고 있었다.“영국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