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컸다. 대개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호모 속에 비해 덩치가 크다. 어깨가 크고 팔이
길
며 손과 발 뼈가 구부러져 있는 모양을 보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처럼 나무를 타고 다녔다고 추측할 수 있다.하지만 두개골과 손, 발의 형태가 사람과 비슷했다. 특히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네 손가락이 손바닥을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요트는 마치 모터를 켠 것처럼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갔다. 게다가 기자가 탄 요트는 앞뒤
길
이가 약 12m, 높이가 약 19m였다. 그만한 요트를 앞으로 보낼만큼 큰 돛과 돛을 연결한 활대를 움직이는 일은 성인 남자에게도 버거워 보였다. 활대는 아주 빠르게 방향을 바꾸는데, 기자가 앉자마자 활대가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유튜브에 공개했다. 아직까지는 30cm 정도 공중에서 15분가량 나는 수준이다. 하지만 U자형
길
에서 묘기를 부리거나 물 위에서도 달릴 수 있다 (영화 속 호버보드는 물에서는 멈춘다). 영상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200m나 되는 자성 트랙을 깐 덕분이다.렉서스 호버보드가 나는 비결은 안에 들어 있는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주효했다. 우리나라의 유일한 풀벌레 전문가인 김 연구사는 “남들이 가지 않는
길
을 선택하는 게 좋다”고 했다. 어리여치는 풀벌레 중에서도 가장 연구가 안 돼 있는 분류군이다.“이름에 여치가 들어있지만 여치와는 습성이 완전히 달라요. 꽃가루를 옮겨서 수분시키는 녀석도 있어요. 이것 ... ...
[Knowledge]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존감이 높으면 주위 환경에 주눅이 들지 않고 자신만의
길
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이든 잘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그러나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심리학과 로이 바움에이스터 교수는 자존감이 행복의 만능열쇠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실험 참가자들의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지구사랑탐사대 3기지구사랑탐사대 3기 발대식이 4월 25일 토요일 오후, 이화여자대학교 포스코관에서 열렸어요. 210여 명의 탐사대원들이 참여해 재미있는 강연도 듣고 ... 차례로 이어질 예정이에요. 전국 방방곡곡에서 지사탐의 활발한 탐사 소식이 들려오
길
함께 기대해 주세요!협찬 : K ... ...
[Photo] 기후변화가 만든 미래의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영감을 얻었다. 그는 “기후변화가 앞으로도 계속된다면 몽골의 유목 문화 역시 이런
길
을 걷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사막화를 부추기는 인간사막화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기후변화다. 하지만 과도한 벌목이나 채굴 사업 역시 사막화를 부추기는 중요한 원인이다. 특히 목축업으로 사육 가축 ... ...
[과학뉴스] 짠물에 버티는 식물, 식량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더딘 것을 확인했다. 퍼슨 교수는 “식품 생산의 큰 걸림돌이었던 염분을 극복할 수 있는
길
이 열렸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셀’ 9월 4일자에 실렸다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같은 고등학교에 다니는 A와 B는 중학교 때까지만 해도 ‘절친’이었다. 하지만 고등학교에 들어온 뒤부터 두 사람 사이에 거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A는 가정 형편과 성적, 성격, 외 ...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악한 속성을 최대한 멀리하는 것이 ‘뇌’도 ‘나’도 행복해지는
길
이 아닐까 ... ...
가상현실에서 사격을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옮긴다.하지만 병사의 실제 움직임과 가상현실의 움직임을 완전히 일치시키기엔 아직 갈
길
이 멀다. 하드웨어보단 소프트웨어가 특히 그렇다. 이소연 ETRI 융합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도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여하고 있다”고 했다. 2013년 5월에 시작된 연구는 약 4년간 계속될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