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10
줄어 인공위성의 수명이 길어지기 때문이다.아마 인공위성이 대기 밀도가 높은 200km
아래
고도에서 비행한다면 대기층과의 마찰력 때문에 위성체가 벌겋게 달아오르고 금세 궤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대기열권의 밀도는 우리가 숨 쉬고 사는 대류권 밀도의 10억분의 1에 불과하다. 하지만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10
이용해 사용자의 몸을 입체 영상으로 만든다.사용자가 키넥트 앞에 서면 카메라가 위
아래
로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몸을 스캔한다. 스캔이 끝나면 키넥트는 사용자의 입체 영상을 바탕으로 머리나 손, 발 같은 주요 부위와 팔꿈치나 무릎 등의 관절 위치를 알아낸다. 이들이 움직이는 방향과 정도,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남해와 동해, 심지어 멀리 일본 근처 바다에서까지 나고 있었지. 그런데 해수면보다
아래
에서 들리는 것으로 보아 비행물체가 아니라 바다 속을 떠도는 물체 같았어.하지만 바다로 들어갈 수는 없으니, 신호가 향하는 곳을 먼저 가 보기로 했어. 그 곳은 부산아쿠아리움. 우리는 잠시 예쁜 바다 ... ...
학교에 가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흐르는 공기의 속도가 달라지거든요. 위가 빠르고
아래
가 느리게 말이에요. 그 결과
아래
에서 위로 떠오르게 하는 ‘양력’이라는 힘이 생겨요. 자, 이제 직접 만들고 몸으로 움직이면서 양력에 대해 배워 봐요! 섭섭박사의 양력연구실로 말이에요~!섭섭박사님과 함께양력 만들기 ... ...
신호는 도로 관리자
수학동아
l
201010
신호등이 없는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를 연결하는 곳에는 입체교차로를 만든다. 위
아래
두 도로로 차가 다녀야하기 때문에 교차로의 높이는 4.5m를 훌쩍 넘는다.이때 입체로 교차하는 두 도로를 연결하기 위해 경사지게 만든 부분을 램프라고 한다. 경사를 줄이기 위해 대부분의 램프는 회전 반지름이 ... ...
짜릿한 롤러코스터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009
된다. 반면 원 바깥의 한점이 그리는 트로코이드 곡선은 사이클로이드 곡선보다 위
아래
움직임이 큰 모양이다. 아하! 생각이 쑥쑥! 직선보다 빠른 사이클로이드놀이터의 미끄럼틀 중에는 곡선 모양이 직선 모양보다 더 스릴이 있다. 직선은 각 점에서 순간속력이 일정하지만 곡선은 순간속력이 각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09
친척으로 분류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수련과(科)와 연꽃과를 수련 목(目)
아래
뒀죠. 분류단계인 ‘종속과목강문계’ 아시죠? 그런데 최근 분자유전학, 즉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기술이 분류학에 도입되면서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연꽃과는 마카다미아(맛있는 너트가 열리는 ... ...
토끼농장 에서 벌어진 엽기적인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09
토끼의 겉모습은 일반 토끼와 다른,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었다. 양쪽 귀가 강아지처럼
아래
로 축 처져 있던 것이다. 그런 귀를 가진 토끼는 이 토끼가 농장 안에서 유일했다.이 점이 문제의 시작이었다. 아마도 토끼가 농장에 처음 왔을 때 다른 토끼들이 이 토끼를 ‘외모 때문에’ 심하게 따돌린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09
어느 날, 보통 때처럼 카약에 올라앉아 갠지스강을 지나고 있었다.35℃나 되는 뙤약볕
아래
서 노를 젓는데 제법 시원한 바람이 불어온다. 시간이 지날수록 바람은 점점 세지고 물결이 일렁이기 시작했다. 파도가 높아지고 카약의 머리가 하늘로 솟구쳤다가 물속으로 곤두박질쳤다. 필사적으로 노를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있다. 석재끼리 맞닿아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좌우로 3mm 정도의 간격을 띄운다. 위
아래
로 쌓을 때는 충격 완화를 위한 철편을 끼운다. 모두 전통방식을 따른 것이다.임 명장은 “기초 틀이 되는 석재는 전통방식인 판축다짐 방식으로 고정해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다”고 밝혔다.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