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기본
짜임새
밑바탕
근본
본성
배경
d라이브러리
"
바탕
"(으)로 총 2,58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11
모듈은 지구궤도에 6개월 정도 더 비행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은 궤도 모듈 기술을
바탕
으로 장기적으로 자체적인 우주정거장을 개발할 계획을 갖고 있다.선저우 5호의 우주인이 지구로 돌아오는데 사용한 ‘귀환캡슐’은 러시아의 소유즈 귀환캡슐과 모양이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크기는 13 ... ...
인체의 온도 감지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311
유사하다. 김 교수는“초파리에서 온도감지 해석과정에 대한 하나의 모델을 만들면 이를
바탕
으로 인간을 포함한 고등동물을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실험실에서 유망 벤처가 탄생신경네트워크 연구실에서 진행중인 온도 감지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는 이제 걸음마를 막 시작한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11
199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그는 돌턴의 원자설에서부터 비롯된 원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
으로 오늘날 나노기술이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소개했는데, 이 강연은 한달 전에 좌석 예약이 끝날 정도로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강연 전날 기자와 만난 크로토 박사는 “물질에 대한 진정한 이해는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11
실크단백질의 1차구조는 최근 전체 염기서열이 해석되면서 밝혀졌다. 서열을
바탕
으로 살펴보면 실크단백질은 짧은 친수성 영역과 긴 소수성 영역이 반복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물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실크단백질은 친수성과 소수성 영역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농도에서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10
8년까지 작동됐다. 이들 우주망원경은 나름대로 큰 성과를 냈으나, 그동안 축적된 기술을
바탕
으로 제작된 SIRTF가 적외선 우주 관측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영하 2백68℃에서 최고 성능 발휘SIRTF는 1980년대 중반, IRAS의 성공에 고무받은 NASA가 IRAS를 대신할 목적으로 처음 계획했다. ... ...
부작용 없는 제2의 비아그라 개발된다
과학동아
l
200310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의 입체 구조가 1989년 X선 결정법에 의해 밝혀졌고, 이 구조를
바탕
으로 치료약이 개발돼 1990년대 중반부터 억제제가 시판되고 있다. 그 결과 미국의 1997년 상반기 에이즈로 인한 사망자는 1996년 상반기에 비해 44%나 줄었다. 이제 선진국에서는 에이즈가 당뇨병이나 고혈압같은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10
생명현상을 이해하면 좀더 복잡한 생명체도 결국은 이해할 수 있다는 환원주의적 신념이
바탕
을 이뤘던 것이다. 이런 환원적 접근으로 인지신경과학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것이 학습과 기억의 생물학적 규명이다. 여기에는 적절한 신경과학적 연구방법과 적절한 동물모델이 이용됐다.최근에는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
과학동아
l
200310
프로젝트’를 29억엔의 연구비를 들여 추진했다. 현재 일본은 이때 확보한 원천기술을
바탕
으로 2단계 연구를 기획하고 있으며, IEA의 Annex 15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다.미국 또한 에너지성(DOE)의 수소연구개발프로그램을 주축으로 다양한 생물학적 수소생산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하와이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0
통해서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방법론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또 기술에 대한 이해가
바탕
이 됐기 때문에 그 기반으로 비전을 세울 수 있었던 거죠.”꿈“우리 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체 게바라)그는 감명깊게 읽은 책으로 전설적인 남아메리카 혁명가의 ... ...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10
수 없다. 아연이 녹아버리면 총포의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연구소는 이같은 분석을
바탕
으로 이것이 임진왜란 때 실제로 사용된 총통일 수 없고 따라서 후대에 위조한 것으로 결론을 내린 것이다.가짜 금속공예품을 만드는 위조범들은 위조품의 겉모양에는 각별히 신경을 쓰지만 재료의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