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스페셜
"
지적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평등인가, 생물학적 특성 때문일까…소수인종 코로나 감염·사망 비율 백인보다 높은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인체세포 표면 단백질 에이스투(ACE2)의 발현량이 출신지별로 다를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
했다. 하지만 사회학자 일부가 출신지나 인종별 질병 감수성 차이 등을 신체적 차이로 언급하는 일이 자칫 인종의 생물학적 차이를 기정사실화할 가능성이 있다며 비판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런 ... ...
[과학기술의 큰 걸음]문익점 목화씨 들여오듯 천연물 연구의 불모지를 개척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식으로 승인됐으나 이것이 현대 의학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에 반해 너무 느슨하다는
지적
이 제기됐다. 결국 천연물 연구과제 대부분이 사라지고 정부는 결국 2017년 ‘천연물 신약’이라는 용어 자체를 법에서 뺐다. 배경엔 신약개발을 둘러싼 의학계와 한의학계의 치열한 싸움이 있었다. 김 ... ...
수소차 센서·줄기세포·4차산업혁명 전문가들 훈포장…과학정보통신의 날 빛낸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전도성 연료전지 상용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국내외 학술발표 170건 및 논문 270여편,
지적
재산권 170여개도 확보했다. 과학기술 진흥 부문 최연소(41세) 수상자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한 김영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폴더블폰, 우주선, 비행기 등에 사용되는 자유곡면을 복합 ... ...
코로나19 시대, 전문가들이 권하는 안전하게 사랑을 나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4.21
매우 일반적인 행위이며 바이러스가 이 과정에서 침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고
지적
했다. 그는 또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가 대변에서 나왔다는 일부 연구 결과도 나왔기 때문에 항문성교도 위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 기간 중에는 새로운 사람과 성적인 ... ...
홍콩은 어떻게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불러온 2차 파도를 막아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지난달 29일에는 하루 신규 환자 수가 82명까지 늘어나며 제2의 물결이 오는 것 아니냐는
지적
이 일었다. 이 시기 재생산지수도 급격히 상승했다. 공무원들이 출근을 시작한 3월 2일부터 3월 6일까지 Rt값은 1.5로 급격히 늘었다. 코로나19가 퍼져나갈 여건이 갖춰진 것이다. 방역에 구멍이 뚫리자 ... ...
"워킹스루 진료소, 소독과 환기라는 '기본' 잊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도보이동형 선별진료소의 소독방식에 대해
지적
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온도나 습기 정도에 따라 무생물 표면에서 수일을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의료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소독제는 60~70% 에탄올, 과산화수소 등이다”고 ... ...
사회적 거리두기 조금 풀고 기간 더 늘린다
2020.04.19
이달 15일 정부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자들이 식당에서 한방향으로 앉아 식사를 하고 있다. 박근태 기자 kunta ... 사라지지 않았고 지난 1주간 부쩍 늘어난 사회적 접촉의 영향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지적
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50주년 맞은 '지구의 날' 당신은 16세기 이후 최악의 가뭄속에 살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9
요소를 제거하면 현재 가뭄의 세기는 9세기 이후 11번째로 강한 가뭄 정도에 불과하다고
지적
했다. 윌리엄스 교수는 “날씨가 점점 따뜻해지고 있어 이 지역은 점점 더 길고 심각한 가뭄이 진행될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며 “우리는 운이 좋아 당분간 더 많은 비를 볼 수도 있겠지만 가뭄에서 ... ...
10대들은 어떻게 생각할까…'미성년자 동물 해부실습 금지' 찬반 논란
과학동아
l
2020.04.18
학생들이 직접 경험해야만 더 많은 내용을 배울 수 있다는 주장도 있던데요. 학생들의
지적
경험을 위해서 동물의 육체를 훼손하는 해부를 당연시 하는 태도는 인간 중심적인 사고일뿐만 아니라 생명을 경시하게 될 위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바이오스피러사가 만든 개구리의 3D 해부도 ... ...
국내 전문가들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시급해도 안전성이 최우선"…"최소 수년 걸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4.17
환자 데이터가 충분히 모이지 못했다”며 “이는 국내는 물론 전세계가 마찬가지”라고
지적
했다. 김 팀장은 또 “이노비오나 모더나가 백신 개발 임상1상에 빠르게 돌입한 이유는 이들 기업들이 메르스 백신을 만들면서 백신 개발 플랫폼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