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5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GIST, 대형 산불 발생 야기하는 기상조건 일주일 전 예측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 포스텍은 최수석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산란 없이 투명과 밝기를 자유자재로
조절
하는 스마트 윈도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적은 전압으로 빠르게 반응해 기존 스마트 윈도우와 달리 상용화된 디스플레이의 회로 구동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디스플레이 부품과 ... ...
[탄소중립 최전선] ④국내 CCS 연구 기지개..."탄소저장량 5% 늘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장비를 통해 지하 땅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장비를 통하여 이산화탄소 주입량을
조절
하거나 필요 시 화학물질을 투입해 원활한 저장을 유지하도록 한다. 탄소가 주입되는 상황을 그대로 재현하는 설비는 탄소저장과정에서 소모되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탄소를 ... ...
건강 해치는 '초가공식품'…암·치매·심혈관 질환 위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비현실적이란 지적을 받는다. 때문에 학계에선 초가공식품에 함유되는 첨가물의 양을
조절
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이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베리 연구원은 "사람들은 이미 초가공식품의 편리함과 가공된 맛에 너무 익숙해졌다"고 말했다 ... ...
부모 엄격한 아이들 우울증 증가...DNA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0.20
발견했다. 메틸화는 작은 화학 분자(메틸기)가 DNA에 추가되는 과정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하는 역할을 한다. 그간 여러 연구를 통해 메틸화 증가가 우울증에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2015년 4월 스페인 바르셀로나대에서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일란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putida)로 유기산 혼합물을 먹고 특정한 분자를 만들어내도록 게놈에 손을 대 대사경로를
조절
한 상태다. 실험에 쓰인 두 균주 가운데 하나인 AW304 유기산 혼합물을 먹고 베타-케토아디페이트라는 분자를 만든다. 베타-케토아디페이트은 헥사메틸디아민과 반응시켜 나일론과 물성이 비슷한 ... ...
이종호 장관 "소형모듈원자로 등 원자력 분야 성장동력 확충"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SMR은 발전용량 300메가와트e(MWe) 이하의 소규모 원자로로 출력
조절
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아 차세대 원자로 기술로 꼽힌다. 지난 5월 SMR을 개발하는 연구사업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며 SMR 개발이 탄력을 받게 됐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두에게 잘 할 수 없는 이유
2022.10.08
추론하며(마음 읽기), 이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추론해 자기 검열과 행동
조절
을 수행한다. 타인이 존재하는 우리는 단 한 시도 눈치 보기를 멈추지 않으며 마치 셜록 홈즈처럼 열심히 탐정놀이를 한다. 이는 주의력, 논리력, 추론능력 등 매우 고등한 인지능력을 요구하는 ... ...
전기 없이 냉각되는 기판 개발...나비 날개 모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연구팀이 나비 날개 모사 기판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나비가 날개로 체온
조절
이 가능한 것은 나비 날개가 가진 독특한 나노 형상 구조 때문이다. 200~800nm(나노미터,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다공성 구조와 주기적 격자로 이뤄져 있다. 연구팀은 이 나노 구조를 모사했다. 나비 날개의 ... ...
[노벨상 2022] "받을 사람이 받았다"...인류건강과 혁신기술 '씨' 뿌린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내놨다.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두 분야는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관찰하고
조절
하는 화학생물학과 신약 개발에 커다란 공헌을 했다”며 “생명현상 연구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 이미 수상이 예측돼 왔다”고 말했다. 2022 노벨화학상 공동수상자인 캐럴린 버토지(55) 미국 스탠포드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염증성 장 질환 진단 및 회복 핵심효소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핵심 효소를 발굴하고 외부로부터 면역기능을 제공한다고 알려진 ‘솔세포’ 발생을
조절
한다는 점을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기술 개발 등에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세포 및 분자 소화기학 및 간장학’에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