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SA
뉴스
"
미국항공우주국
"(으)로 총 2,29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산불로 위협받는 자연의 '탄소 저장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8.24
기후변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21일자에 실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과 캐나다 자연과학및공학연구회의 요청과 지원을 받아 2014년 캐나다 북부 노스웨스트준주에서 발생한 역사상 초대형 화재로 인해 토양과 탄소의 양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조사했다. 북방 ... ...
달의 남극 최초로 향하는 인도…美·러·中 선점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이같은 장점 때문에 달 탐사를 진행하는 국가들은 하나같이 달의 남극을 노리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2024년까지 남녀 우주인을 달의 남극에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올해 공개했다. 러시아도 2021년에 루나 25호를 발사해 달 남극 착륙을 노린다. 올해 초 창어 4호를 달 뒷면에 보내는데 ... ...
美 2년내 무인 로봇 착륙선 발사…착착 진행되는 달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024년까지 유인 우주선을 달에 보낸다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지난 17일 아르테미스 임무의 달 착륙선 임무를 주도할 연구소로 미국 앨라배마 마샬우주비행센터를 선정했다. 로이터 통신은 20일(현지시간) 미국의 유인 달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 ...
약 48광년 밖 지구형 외계행성 표면 스피처 망원경 직접 관측
연합뉴스
l
2019.08.21
부분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차가운 화산 물질로 덮여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 따르면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CfA)의 로라 크라이드버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스피처우주망원경을 통해 외계행성 'LHS 3844b'를 관측한 결과를 과학저널 ... ...
별과 가까운 '슈퍼지구'에선 생명체 살기 힘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없어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발견된 LHS 3844b의 상상도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제공 태양보다 작은 별(항성) 가까이에서 발견되는 지구와 유사한 행성인 '슈퍼지구'에서는 생물체가 살아남기 어렵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지구보다 조금 큰 암석형 행성인 ... ...
美 유인 달 탐사 NASA 마샬우주센터에서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8.18
달 탐사 임무를 앞두고 임무의 핵심인 달 착륙선 임무를 주도할 연구소를 선정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2024년까지 유인 탐사선을 달에 보내겠다는 NASA ‘아르테미스’ 임무의 달 착륙선 임무를 주도할 연구소로 미국 앨라배마에 위치한 마샬우주비행센터를 선정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 ...
안구운동 측정해 수면부족 여부 판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여부 등 수면의 질도 간단히 진단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에임즈연구센터 연구팀은 미세한 안구운동의 변화를 측정하면 수면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음을 밝혀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생리학저널' 6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병원에서는 ... ...
토성 위성 타이탄에 ‘드래건플라이’ 보낸다
과학동아
l
2019.08.07
2034년 타이탄에 착륙해 생명체의 흔적이 있는지 조사할 예정이다.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다음 목적지는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이 될 예정이다. NASA는 태양계 탐사 프로젝트인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타이탄에 보낼 무인 탐사선 ‘드래건플라이(Dragonfly)’ 개발에 착수한다고 ... ...
'궁극의 저온'을 꿈꾸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자기장을 이용해 서로 결합시켰다. 이 인공물질은 약 2.5초 존재한 뒤 사라졌다.
미국항공우주국
의 CAL은 지상에서 도달하지 못하는 낮은 온도를 더 긴 시간 관측할 수 있다. NASA 제공 물리학자들이 극저온 연구에 몰두하는 이유는 우주에 자연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는 특성을 실험하고, 새로운 미래 ... ...
73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외계행성 3개 동시 발견… 생존 가능 행성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위쪽이 목성과 목성 위성의 위치 분포도, 아래쪽이 TOI 270 행성계의 행성 분포도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항성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TOI 270d의 평균 온도는 약 66도로 추정된다. 생명체 거주 가능성이 있는 온도대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 행성의 경우 대기가 매우 두꺼워 온실효과로 인해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