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고압 산소 치료기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병원에서 썼던 치료기입니다. 대구 최초의 산소치료기는 어떤 모양을 닮았나요? 우리 주변에는 산소 치료기처럼 원기둥 모양인 물건이 많습니다. 놀랍게도 그 물건은 공통적으로 안에 무엇인가를 담는 용도로 씁니다. 뭔가를 담는 통인데 왜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얻는다. 만약 여러분이 (입자물리학이 아니라도) 과학자가 된다면, 무언가 새로운 것을 최초로 알아내는 사람이 될 기회가 많다. 그건 정말,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특별한 느낌이다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를 조사한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수인성질환과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분리된 살모넬라 티렌에 의한 감염 예’(임상미생물학회지 2016, 19(1), 24-27)라는 논문에서 “야생동물과 특수반려동물은 심각한 동물원성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5세 미만 어린이나 ...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영국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100만 분의 1mm)크기의 인공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수팀은 뇌의 복잡하고 정교한 네트워크를 흉내 내는 데 금속산화물 ‘멤리스터’를 이용했다. 멤리스터는 ‘메모리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움직이고, 또 로봇 팔이 사물에 닿을 때 촉감을 느끼게 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뇌에 소형 전자장치를 넣어 뇌의 전기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해 기계를 작동시키는 뇌-컴퓨터 접속(BCI)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네이선 코플랜드는 불의의 사고로 사지마비 장애를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택했다. 40여 년 뒤, 이들은 축적된 기술을 이용해 ‘아이림(i-LIMB)’이라는 이름의 세계 최초의 판매용 전자 의수를 내놨다. 2007년의 일이다.iLIMB아이림은 기존의 의수와는 차원이 다른 혁신적인 발명품이었다. 일단 이 전자의수는 다양한 형태의 그립(움켜쥐기)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정밀그립은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말했다. 이 교수는 1980년대에, 한반도 남부를 가로지르는 양산단층이 활성단층임을 최초로 주장했던 지진 분야의 석학이다.“규모만 컸던 게 아니라, 매우 잦았습니다. 삼국시대부터 1904년까지 최소 2186번의 지진이 발생했죠. 지진은 함경도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 도처에서 발생했습니다.”발생 ...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개발하고 있어요. 지난 2011년에는 최고시속 750km로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 모형을 세계 최초로 만들기도 했지요.올해부터는 속력 1000km 이상의 *아음속으로 튜브 속을 달리는 자기부상열차 ‘아음속 캡슐 트레인’을 본격적으로 개발할 계획이에요. 빠르게 달리는 열차뿐만 아니라 가볍고 강도가 센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때문에 진원은 사실 꽤 넓은 영역입니다. 단지 그 중에서 암석 파괴로 인한 지진파가 최초로 발생한 지점을 진원이라고 불러요. 그런데 진원은 아주 깊은 곳이기 때문에 지진이 나면 진원 바로 위의 지표면인 ‘진앙’이 어딘지를 이야기합니다. 기상청이 발표한 ‘경상북도 경주시 남남서쪽 8.7km ...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초기우주의 문이라고도 할수 있는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하고 38만 년 뒤에 최초로 빛이 우주로 뻗어나가면서 남긴 흔적이다. 38만 년 이전에도 빛은 있었지만 여러 입자들이 뒤죽박죽으로 섞여 있어서 앞으로 움직이지 못했다. 그래서 우주는 한치 앞도 볼 수 없는 진흙탕 같은 상태였다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