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열심히 노래한 가수들이 콘서트를 열어 해를 마무리하지요. 연말 분위기 물씬 느끼게 해
줄
멋진 가수를 초대했습니다. ‘아모르파티! 삐요옹 뿅뿅 뿅뿅뿅 삐요요용 삐용뿅 삐용용 삐요요용’ 경쾌한 트로트 리듬에 강력한 전자음악(EDM)을 얹어 앉은 자리에서도 엉덩이가 절로 들썩이게 만드는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Q 친구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스티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어서 영광이에요. 친구들도 과학에 흥미를 가져 보세요. 어떤 사소한 발견이든 좋아요. 그 발견이 나중에 인류에게 큰 보탬이 될지도 몰라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아마추어 과학자들이 활약할 기회는 있어. 최근엔 냄새나는 똥으로도 과학에 도움을
줄
수 있대. 대체 무슨 말이냐고? 한국인의 장 프로젝트, 스마일바이오미 시작!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의대 연구팀이 ‘미국 장 프로젝트’의 주요 결과를 발표했어요. 미국 장 프로젝트는 우리 몸에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3일 단축됐다. 결과적으로 전체 생육 기간이
줄
면서 기온 1도에 낱알 개수는 1m2당 1119개
줄
었고, 밀알 1000알의 무게는 1.2g 감소했다. 가뜩이나 몸값 비싼 우리밀이 경쟁력을 잃을 가능성이 더 높아진 것이다. 서 교수는 “밀이 가진 고온 저항성 유전자를 연구함으로써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줄
기세포로 남아있으려면 그 주변에 위치한 세포들의 역할이 절대적입니다. 따라서 암
줄
기세포의 주변 세포를 없애는 항암 치료법도 새롭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최영은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줄
에 숫자1~9를 하나씩만 채워 완성하는 수학 퍼즐 ‘스도쿠’를 했을 때 귀벌레 현상이
줄
었습니다.주의할 점은 스도쿠의 난이도가 높으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니 너무 어려우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또 하이먼 교수는 문제의 노래를 찾아 끝까지 들어버리라고 합니다. 머릿속에 맴도는 노래는 ... ...
[과학뉴스] 구름을 입체 지도로 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바로 활용할 수 없다”며, “날씨를 연구하거나 악천후에서 항공기가 비행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3차원 기상도를 만드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어요 ...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 해결책은 스마트폰을 ‘접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반으로 접으면 화면도 반으로
줄
어 든다. 접은 만큼 두께는 늘어나지만 휴대성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있다. 때문에 최근 스마트폰 제조자들이 앞 다퉈 ‘폴더블폰’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폴더블폰은 기술적인 난관이 몇 가지 있다. 가장 큰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삶을 변화시킬 연구에 매진하고 있을 많은 과학자들과 그들의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줄
미래의 과학자들을 응원한다. 임승외미국 퍼듀대 약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주제는 암세포의 면역 회피 기작과 면역항암 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와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번식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이 기생충이 인간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인간이 톡소포자충에 감염될 경우 간질이나 조현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doi:10.17219/acem/61435식물 중에도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라는 심비오트 후보가 있다. 이 세균은 식물의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