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d라이브러리
"
여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2~3월경 제주도 성산포 연안에 몰려든 고등어 무리는 점차 북상해 동해나 남해에서
여름
을 보낸다. 그 후 북상하는 무리는 둘로 갈라지는데, 한 무리는 동해로, 다른 무리는 서해로 올라간다. 이때 동해로 올라가는 무리가 많다면 서해 쪽이 흉어가 되고, 서해 쪽이 많다면 동해 쪽이 흉어가 될 것이다 ... ...
나무 심고 전기요금 아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캘리포니아에 있는 가정집의
여름
철 전기요금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나무 그늘로 인해
여름
철 전기요금을 5% 정도 줄일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답니다. 이 때 나무는 집의 서쪽과 남쪽에 있어야 전기요금을 줄이는 효과가 있었어요. 동쪽에 있을 경우에는 별 효과가 없었고, 북쪽에 있을 경우에는 ... ...
Part 2. 암호는 즐거운 두뇌싸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동시에 팬들과의 관계를 더욱 튼튼하게 다질 수 있었어.다른 사례를 들어 볼까? 지난
여름
우리나라의 한 통신사가 암호 이벤트를 열었어. 각각의 암호는 스타가 제공하는 선물을 뜻해. 한번 풀어 보렴.7#3321043701658928*33*8833955**97#0498*3*8766언뜻 보면 어려워 보이지만 해독의 단서가 되는 열쇠만 알면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일행이 떠나자 배 안은 다시 출항 준비로 분주해졌다.10월 1일 통가 탐사해역으로 출발!
여름
이 시작되는 남반구라서 그런지 하루가 다르게 날이 더워지는 것 같더니 이날은 아침부터 강한 햇살이 하얀 온누리호에 쏟아졌다. 일렁거리는 바닷물에 반사된 햇빛이 선체의 표면에 어지러운 무늬를 그리고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셈이다.그런데 야광운은 왜 따뜻한
여름
철에 생겨나는 걸까. 지표면이 더 더워지는
여름
에 중간권은 가장 추운 겨울을 맞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는 아직까지 온전히 확인이 안 된 가설일 뿐이다. NASA는 야광운 형성의 미스터리를 풀고자 지난 9월 19일, 먼지인 산화알루미늄 100kg 이상을 실은 ... ...
거친 파도의 비밀을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매년
여름
이면 파도에 휩쓸려 목숨을 잃은 사람들의 뉴스를 접합니다. 사람을 위협하는 거친 파도는 왜 일어날까요? 네일 아크메디브 교수가 이끄는 호주국립대학교 광학과학팀이 거친 파도가 일어나는 이유를 수학방정식을 이용해 밝혀 냈습니다.연구팀은 파도의 파동그래프와 빛의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식물들이 자란다. 바람을 바로 맞지 않기 때문이다. 사탄동사구는 겨울 북서풍이나
여름
남동풍에 바로 영향을 받지 않아 모래가 천천히 쌓여 식물이 자랄 수 있다.사구에 식물이 뿌리를 내리면 땅이 점점 굳어지기 때문에 세찬 바람이 불어도 지형이 변하지 않는다. 서해안에 있는 사구들은 대개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있다는 뜻이다.‘북북’ 긁으면 시원한 이유가려운 부분을 북북 긁으면 마치 더운
여름
날 차가운 물을 마시는 것처럼 시원하다. 그 이유는 뭘까. 지난 4월 미국 미네소타대 글렌 기슬러 박사팀은 가려운 부분을 긁을 때 뇌에 신호를 전달하는 척수신경세포가 일시적으로 활동을 멈추면서 가려운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008년
여름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궜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시위. 넘쳐나는 정보와 엇갈리는 주장에 혼란스러워했던 대중들은 무엇보다도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판단의 기준을 원했으리라. 그러나 그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는 최소한의 과학지식마저도 여전히 미완이며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전력 수요를‘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강제’할 수 있다는 얘기다. 예를 들어
여름
철 한낮에 전기료를 비싸게 매겨도 더위에 지친 소비자들이 에어컨을 계속 작동시킨다면 전력회사는 에어컨을 끄거나 설정 온도를 높이는 비상조치를 취할 수 있다.물론 이 같은 일은 가전제품을 소유한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