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탈모 기자가 본 탈모 치료법 허와 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설명했다. 실제로 임상시험에서도 가짜약을 먹은 사람들 중 0.9%가 전에 없던 성기능 이상
반응
을 호소했다.문제는 부작용보다 치료시기를 놓치는 것이다. 탈모가 이미 많이 진행된 경우 약을 먹는다고 해도 100% 회복되지 않기 때문이다. 기자 역시 수 년 전 약을 먹었을 때보다 같은 기간 동안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일어나지 않던
반응
이 많이 일어납니다. 주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공정에 필요한
반응
들이죠. 그래서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하고 나면 삼성전자나 LG디스플레이 같은 기업으로도 많이 진출합니다.전소리: 원자핵공학과에 들어오고 싶은 학생에게 조언을 한마디 해주신다면요?황용석: 우선 수학과 ...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연했지요. 태극 문양의 작품을 만들어 보여 주자 학생들의
반응
이 뜨거웠습니다.학생들의 잠재력은 대단합니다. 단순히 수학의 재미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창조하거든요. 폴리노미오그래피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무용이나 애니메이션 작품을 만든 학생들이 실제로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쓴다. 접착제 성분의 이 물질은 잠재지문에 남은 수분이나 젖산염 이온과 만나 중합
반응
을 일으킨다. 그 결과 융선 모양이 하얗게 드러난다.수중 증거물에서 지문을 채취할 때는 방법을 잘 고민해야 한다. 특히 지문 중 ‘물에 녹지 않는 성분’을 노려야 한다. 스페인 발렌시아대 법의학과 페르난도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셈이죠.’‘엄밀하게 따진다면 여긴 행성이지 별은 아닙니다만.’나는 조사관의 딱딱한
반응
에 다소 마음을 놓았다.‘이를 테면 그렇다는 말입니다.’조사관이라는 직업에는 검색으로 드러나지 않는 기준이 있음에 분명했다. 그는 내가 케플러 64 항성계에 근무하면서 세 번째 맞이하는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이론적으로 타당한 생체시계가 실제로도 있다는 걸 실험으로 증명했기 때문에 좋은
반응
을 얻고 있는 것 같아요.어렸을 때부터 수학자가 되고 싶으셨나요?수학을 좋아했지만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메달을 따는 정도의 사람이나 수학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제가 수학자가 될 ... ...
[News & Issue]GM연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GM연어가 생태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반응
도 미지근합니다. 월마트를 비롯한 몇몇 대형 유통업체들은 안전성을 이유로 GM연어를 판매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빛감지채널을 신경세포 DNA에 삽입시켰고, 유전자가 발현되자 감염된 신경세포들이 빛에
반응
할 수 있게 됐다.마찬가지의 방법을 인간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우선 뇌에 들어와도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바이러스를 찾고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설령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내게 된다. 나뭇잎이 초록빛을 띠는 이유는 나뭇잎 속에 초록색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에
반응
하는 입자들이 들어 있기 때문이고, 맑은 가을 하늘이 파란 빛을 띠는 이유는 공기 입자들과 충돌한 뒤 퍼져나가는 빛 입자들이 대부분 파란색에 해당하는 파장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렇듯 ‘원자론’은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오간 대화가 아니다. 과학동아 편집부 회의에서 광유전학 실험용 쥐에 대한 한 기자의
반응
이었다. 실제로 기자가 취재 과정에서 직접 본 쥐들의 모습은 그리 유쾌한 모습은 아니었다. 원래라면 보송보송한 털이 나 있을 머리부위를 광섬유 케이블이 차지하고 있으니 영락없이 뿔 달린 쥐 모습이다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