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하
해저
d라이브러리
"
바다속
"(으)로 총 2,1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로 내려간 고래의 성공비결은 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포유류인 고래가 바다에서 적응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원래 육지에서 생활하던 고래는 4천만-5천만년 전 돌연 바다로 생활터전을 옮겨 과학자들의 관심사가 돼왔다. 최근 고래가 바다 생활에 성공한 비결이 귀의 변화 때문이라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네이처’ 5월 9일자에 발표됐다.런던 ... ...
찰랑거리는 비너스의 머리칼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우주공간에서 비너스의 머리칼처럼 찰랑거리는 바람의 흔적이 포착됐다. 이 흔적은 1년에 지구질량을 뿜어내는 항성풍의 뒷모습이라는데…타는 목마름을 속여줄 한 모금의 물처럼 코끝을 살랑거리며 더위를 조금이라도 내몰 바람 한줌이 아쉬운 여름이다. 우주에도 바람이 불까. 공기가 없는 우 ... ...
살아 꿈틀거리는 미니 태양계 목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목성은 화성과 소행성대 너머에 있는 태양계 최대 행성이다. 우주과학의 발전과 함께 원거리 항해기술이 마련되자 목성행 탐사선이 파견되기 시작했다. 목성과 위성들의 신비를 밝히기 위한 탐사여정을 좇아가보자.목성이 조금만 더 컸더라면 제2의 태양이 됐을 것이라는 재미있는 얘기가 있다. 사 ... ...
왜 화석을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화석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학문이 고생물학이다. 고생물학자는 화석에서 지구의 역사와 진화의 증거를 찾는다. 이 과정에서 고생물학자는 화석에 매료된다.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화석’이라는 용어 자체의 뜻은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화석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물어보면 명확하게 답하는 사람 ... ...
하부 맨틀 바닷물의 5배 물 포함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가장 많은 물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바다가 떠오른다. 그러나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가 물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지하 깊숙한 곳에 전세계 바닷물보다 5배나 많은 물이 포함돼 있다. 일본 도쿄 공과대의 모토히코 무라카미 박사 연구팀은 하부 맨틀(지표면 아래 6백50-2천9백km)에 ... ...
봄에 떠나는 생명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봄이다. 개나리와 진달래가 방긋 얼굴을 내밀고,온산이 하루가 다르게 푸른 옷을 갈아입는 봄. 겨우내 차가웠던 바람에 움츠렸던 가슴을 활짝 열어젖히고 포근하고 따뜻한 봄햇살을 맞으러 산으로 들로 달려가고 싶은 마음 간절해진다.대자연을 일깨워 생기를 불어넣고, 자연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 ...
주피터 X선으로 윙크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최근 목성의 극지방에서 X선이 등대처럼 45분 간격으로 강하게나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바람둥이 제우스가 어느 여인에게 추파를 던지는 것일까.1895년 독일의 뢴트겐이 우연히 발견한 X선. 처음에 정체를 잘 몰라서 이같이 불렸지만, 왠지 그 이름에는 신비감마저 감돈다. 우주에서 발견되는 X선이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이후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던 중세 기독교적 세계관이 무너졌다. 그리고 필연적인 의문이 제기됐다. 이 넓은 우주에 인간만이 유일한 지적 생명체일까. 은하계에는 태양과 같은 항성이 수천억개 이상 존재한다. 그리고 우주에는 수천억개 이상의 은하계가 존재한다. 이렇 ... ...
2. 영양만점 자연식 소화편안 조리식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육식 채식 논쟁과 더불어 또 하나의 고민거리는 그냥 먹을지 조리해 먹을지의 선택 문제다. 수많은 조리법이 등장하고 있는 현대의 식생활. 인간이 식품을 조리해서 먹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형태의 식품을 섭취해야 할까. 인간의 식품은 생물종의 체계 속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기상이 물문제에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는 사실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기상 예측이 쉽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서야 두 분야의 결합이 가능해졌다. 물을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탄생한 기상을 이용하는 첨단 수자원 관리 기술을 만나보자. 매년 연중행사처럼 홍수로 하천이 범람하고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