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즐겁다! 에프매스의 무의식 스도쿠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아펠과 볼프강 하켄은 평면에 나타낼 수 있는 모든 배열을 1936개의 조합으로 단순화한 뒤, 각각의 조합을 모두 네 가지 색으로 칠할 수 있음을 컴퓨터로 증명했죠. 스도쿠의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2005년 영국의 수학자 프레이저 자비스는 스도쿠 판을 채울 수 있는 가지 수를 구하는 방법을 처음 ... ...
- 이대로 멈춰있을 순 없어, 폴리매스의 새로운 진화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알려주기 전에 먼저 회원들과 공유하는 것도 재밌을 거 같아. 오늘의 폴리매스와 1년 뒤의 폴리매스는 과연 어떻게 달라져 있을까? 그럼 오늘도 수학과 함께 힘세고 강한 하루 보내~ ... ...
- [chapter2] 미래 모빌리티 인포그래픽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선박(그린쉽-K) 개발 계획을 밝혔다. ❶ 수소탱크 : 수소는 밀도가 매우 낮아 액화한 뒤 압축해 저장. 수소탱크에 저장된 액화 수소는 연료공급시스템에서 온도와 압력을 조절해 연료전지 또는 연소실에 공급❷ 연료전지 : 수소를 공기에서 얻은 산소와 반응시켜 선박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전류 ... ...
- 수소차의 심장, 수소연료전지 기술의 최전선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전자로 분리된다. 이 중 수소이온은 전해질 속으로 이동해 공기극에서 산소와 결합한 뒤 물이 된다. 전자는 외부 회로를 따라 흐르며 전류를 형성한다. 수소연료전지차는 이렇게 발생한 전류로 모터를 작동시켜 바퀴를 굴린다.수소연료전지차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려면 수소연료전지가 여러 개 ... ...
- [화보] 꽃과 나무가 전부 이 안에! 현미경으로 본 자생씨앗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아니라 전자를 이용해요. 씨앗의 표면을 금 성분으로 코팅해 전자가 반사되도록 만든 뒤 아주 가느다란 전자 빔을 쐈어요. 이렇게 하면 씨앗에 매달린 수염 같은 털 가닥까지 볼 수 있지요. 다만 흑백 사진처럼 보이기 때문에 여기에 씨앗의 원래 색깔이나 자라서 꽃이 됐을 때의 색깔을 나중에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8화. 숫자 암호가 안내한 곳은? 파헤칭단에게 보물을 뺏길 순 없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고민 중이었지. 그러다 우주순찰대 우주선이 오는 것을 보고 숨어 있었다. 입구를 통과한 뒤로 지금까지 이 초소형 곤충 드론으로 너희를 추적하고 있었지. 우리를 보물로 안내해줘서 고맙다. 얘들아, 넷을 함께 꽁꽁 묶어 버려!”‘이런, 루띠가 동굴에서 본 불빛이 그거였나?’파헤칭단 무리가 해롱 ... ...
- [가상 인터뷰] 우는 게 특기?! 눈물샘 오가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나오게 했다고 밝혔어. 연구팀은 눈물샘 세포를 배양액에서 길러 오가노이드를 만든 뒤, 제대로 기능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을 포함한 화학 물질에 노출시켰지. 그러자 눈물샘 오가노이드는 자극에 반응해서 눈물과 유사한 액체를 만들며 부풀었어. ...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태양광과 태양열 발전의 차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에너지원으로 사용해요. 태양열 발전은 거울 등으로 열을 한 곳에 모아 물을 끓인 뒤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들지만, 태양광 발전은 빛을 바로 전기로 바꿀 수 있는 ‘태양전지’를 사용해요. 태양열 발전은 물을 저장할 거대한 탱크가 필요해, 넓은 곳에 지어진답니다. 낮에는 태양광! 밤에는 ... ...
-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엘사, 자유롭게 얼음을 다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두어 균일한 온도로 만든다.➋ 냉동실에 넣고 2~3시간 정도 기다려 과냉각 상태로 만든 뒤, 흔들리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뺀다. (과냉각 상태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물 온도와 냉동실의 세기에 따라 다르다. 이미 물이 꽝꽝 얼었다면 실험을 다시 해야 한다.)➌ 접시에 얼음을 몇 개 올린다.➍ 얼음 ... ...
- [기획] 묻고 더블로 가? 공룡 대멸종, 소행성 이중 충돌로 일어났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이용해 볼티시 분화구가 생긴 시점을 알아보니, 칙술루브 대충돌이 일어난지 65만 년 뒤였습니다. 따라서 기존에 볼티시 대충돌이 공룡 멸종을 앞당겼다는 가설은 거짓으로 밝혀졌습니다. 칙술루브 대충돌이 일어난지 65만 년 후에는 이미 공룡이 모두 사라졌을 시점이기 때문이죠. 대신 기후를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