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날"(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동면하러 바위 틈에 올라올 때 같이 올라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결국 이 날 이 방법으로는 개미를 찾지 못했다. 일단 무의도 등산로에 큰 바위가 많지 않았다. 주말이면 등산객들로 북적인다고 하는데, 큰 바위 주변에 쓰레기가 많은 걸로 봐서 이미 사람 손을 많이 타서 개미가 잘 보이지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선생님, 저희 풀었어요!” 학생 3명이 동시에 손을 번쩍 들며 신이 난 목소리로 말했다. 수학 문제를 푼 게 아니었다. 11월 11일, 울산 공업탑청소년문화의집에서 있었던 ‘놀이로 ... 바란다. 수학문화가 자연스러워진 날, 수학문화관이 하나의 문화 명소로 자리 잡을 날을 기대해 본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엄마를 만날 수 없었다. 민다인 박사도 격리된 채로 오랫동안 조사를 받은 뒤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 중요한 건 미래였다. “지난 20년간 저는 신세계 호의 진로를 조금씩 바꿔 왔습니다. 다행히 너무 늦지는 않았습니다. 엔진의 출력을 조정하면 원래 목표로 삼았던 행성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생성하기 시작했다. 모터가 숙주의 점막 표면을 인지하는 센서처럼 사용된 것이다. 예날 교수는 “우리는 세균이 기계적 자극을 읽는 방법과, 이런 신호에 반응해 어떻게 행동을 바꾸는지 거의 알지 못한다”며 “카울로박터는 병원성이 없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인간 병원균에도 적용할 수 있을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로텐디크는 1988년 1월 10일 모든 직에서 공식적으로 물러났다. 그리고 1991년 8월의 어느 날 집을 떠나 프랑스와 스페인의 국경에 있는 피레네 산맥으로 홀연히 사라졌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추측만 난무할 뿐이다. 그런데 그로텐디크는 모습을 감추기 전, 제자이자 현재 몽펠리에 알렉산더 ... ...
- Part 2. 재료를 준비하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멈춰야 한다. 이때가 이익의 기댓값★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기댓값★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에 그 사건으로부터 얻게 되는 이득을 곱해서 나오는 값. 재료를 어떤 양만큼 준비할 때 이익을 얼마나 기대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그렇다면 예상 평균 수요량인 100개보다 재료를 많이 준비할까,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영국의 왕이었던 헨리 8세가 궁수를 훈련시키기 위해 고안했다고 해요. 궁수가 비 오는 날에 목표물을 정확하게 맞히는 연습을 하도록 실내에서 작은 화살촉을 나무판에 던지게 한 것이 다트의 시초이지요. 이후 장비가 간단하고 좁은 공간에서 즐길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영국의 각 지역으로 퍼져 ...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음 스토리펀딩에서 자세히 볼 수 있어요. ‘1여행 1드림 프로젝트’로, 한 번 여행을 떠날 때마다 한 번의 봉사활동을 하자는 캠페인이랍니다. 관심 있는 친구들은 다음 스토리펀딩 사이트를 찾아 꼭 한번 읽어 보세요~!※ 다리 밑 학교 친구들이 사용한 실험키트는 과학동아몰(www.scimall.co.kr)에서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에어록(air lock·오염된 외부 공기의 침입을 막기 위해 문을 이중으로 설치한 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차단하고 탄소 필터가 달린 물 재생시스템으로 식물을 키우고 ... 기록한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내년에도 6번째 미션이 시작된다. 언젠가는 인간이 화성에서 머물 그 날을 고대하면서 ... ...
- [Career] 에너지 정책의 충분조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응답하라 1988’ ‘말죽거리 잔혹사’ 등 1980년대가 배경인 영화나 드라마에서 추운 날 연탄을 때는 장면이 종종 나온다. 허은녕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이 시절부터 에너지자원공학과와 역사를 함께 했다. 허 교수는 “우리 학과만큼 이름이 많이 바뀐 학과도 드물다”며 “학과 이름의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